원어해설 374 페이지 > 기독정보닷컴

홈 > 성경 > 원어해설
원어해설
삯군
misqwtov"
품군 hired servant.||#1. 헬라어 문헌의 용법||형용사 미스도토스(Aristoph. 이래)는 미스도오($3409)에서 유래했으며, '고용된 품군, 고용된 일군'을 의미한다.||#2. 70인역본의 용법||미스도토스는 70인역본에서 약 20회 나오며, '품군'을 뜻하는 사킬을 번역하였다(출 12:45; 레 19:13; 레 22:10; 레 25:6; 신 15:18; 욥 7:2; 욥 14:6; 말 3:5; 사 16:14; 사 21:16; 렘 46:21 등).||#3. 신약성경의 용법||미스도토스는 신약성경에서 3회, 마가복음과 요한복음에만 나온다.|막 1:20 : "곧 부르시니 그 아비 세베대를 삯꾼들과 함께 배에 버려 두고 예수를 따라가니라이 일을 생각할 때에 주의 사자가 현몽하여 가로되 다윗의 자손 요셉아 네 아내 마리아 데려오기를 무서워 말라 저에게 잉태된 자는 성령으로 된 것이라".|요 10:12, 요 10:13에서 삯군의 이기성을 묘사한다: "12 삯꾼은 목자도 아니요 양도 제 양이 아니라 이리가 오는 것을 보면 양을 버리고 달아나나니 이리가 양을 늑탈하고 또 헤치느니라, 13 달아나는 것은 저가 삯꾼인 까닭에 양을 돌아보지 아니함이나".|(참조: Walter Bauer).
다만 …뿐
movnon
단지, 다만, 오직||부사 모논(Aeschyl., Hdt. 이래)은 모노스($3441: 홀로, 혼자서)의 대격이며, '단지, 다만, 오직' merely, only를 의미한다.|신약성경에서 55회 사용되었다.|-->모노스($3441)의 중성을 보라.
오직 …만
movno"
혼자, 홀로, 단지||#1. 고전 및 70인역본의 용법.||모노스는 호머(Homer) 이래로 나오며,||(a) 형용사로 '홀로' alne,|(b) 중성에서 부사로, '홀로, 오직, 단지'를 의미한다.||70인역본에서 6개의 히브리 단어 및 어군의 역어로 사용되었으며, 그 중에 주로 레바드의 역어로 사용되었다(창 2:18; 21:28; 출 22:19; 민 11:14, 17; 왕상 7:3, 4 등).||#2. 신약성경의 용법.||1) 형용사로 (a) '유일한, 하나만, 혼자, 오직'을 의미한다.|① 동사와 함께, 마 14:23; 눅 9:36; 눅 10:40; 요 8:9; 살전 3:1; 롬 11:12.|② 명사와 함께, 눅 24:12; 요 6:22; 마 12:4; 마 4:10; 눅 4:8; 마 18:15; 막 6:47; 막 9:2; 요 6:15; 눅 24:18; 행 26:14; 고전 9:6; 고전 15:30.|③ 부정어와 함께, 마 4:4; 롬 16:4; 요이 1:1; 마 12:4; 마 17:8; 마 24:36; 막 9:8; 눅 5:21; 눅 6:4; 빌 4:15; 계 9:4.|④ 노모스 데오스(유일하신 하나님), 딤전 1:17; 요 5:44; 롬 16:27; 딤전 6:15; 계 15:4.||(b) '혼자, 버림받은, 무력한', 요 8:29; 요 16:32.||(c) '고립된, 그것 자체로', 요 12:24.||2) 중성, 부사로 '오직, 단지, 다만, 홀로',|(a) 동사가 지적하는 행동이나 상태를 제한하는 경우, 마 9:21; 마 14:36; 막 5:36; 눅 8:50; 고전 15:19; 갈 1:23.||(b) 명사나 대명사와 함께, 사람이나 사물을 다른 것들로부터 분리하는 것, 마 5:47; 마 10:42; 행 18:25; 롬 3:29; 갈 2:10; 갈 3:2; 히 9:10.||(c) 부정어와 함께, 다만...말라, 갈 5:13; 뿐만 아니라, 갈 4:18; 약 1:22; 약 2:24; 행 19:26; 요일 5:6; 뿐만 아니라 또한, 마 21:21; 요 5:18.||(d) 카타 모나스(홀로, 혼자), 막 4:10; 눅 9:18.|(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nuvx
밤 night.||#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뉙스(Homer이래)는 기본어이며,||(a) '밤, 어두움, 흑암',|(b) 비유적으로, '맹목, 불명료, 무력함, 해악, 죽음'을 의미한다.|신화에서 뉙스는 밤의 여신으로서 특히 복수의 여신들 퓨리스(Furies)의 어머니로 나타난다. 뉙스는 또한 마술을 위한 시간이며, 마술을 좋아하는 달의 여신이다.|그러나 밤은 또한 계시의 때이며, 특히 의식이 경험의 세계로부터 풀려나기 때문에 꿈을 통한 계시의 때이다. 밤은 휴식과 회복의 때이다.(참조: G.Delling).||#2. 70인역본의 용법||명사 뉙스는 70인역본에서 약 300회 나오며, 거의가 라일(밤)의 역어로 사용되었다.|뉙스는 70인역본에서 때로는 단순히 시간을 나타내며(창 7:4; 욘 1:17 등). 또한 공포의 시간(시 91:5; 솔로몬의 지혜서 17:14이하), 술취함(창 19:33)과 도적들(렘 49:9), 잘못된 행음(삿 19:25), 살인(느 6:10)과 교령술의(삼상 28:8) 시간이다. 특히 밤에 사람은 근심에 빠지기 쉬우며, 악한 자의 공격을 받기 쉽다(욥 7:3; 시 6:7).그러나 뉙스는 또한 하나님의 시간으로 그 때 하나님은 불기둥으로 길을 비춰주시며(출 13:21), 꿈(창 20:3)과 환상(단 7:2; 슥 1:8)으로 자신을 나타내셨다. 한편 마지막 날 구원이 성취되는 그 때에 다시는 밤이 없을 것이다(슥 14:7).||#3. 신약성경의 용법||명사 뉙스는 신약성경에서 61회 나오며, 문자적, 또는 비유적 의미로 사용되었다.||(a) 문자적 의미. 뉙스는 신약성경에서 주로 시간을 나타낸다. 밤 4경에 예수님께서는 물 위로 걸으셨다(막 14:25). 니고데모는 밤에 예수님을 방문하였다(요 3:2).|뉙스는 도망(행 9:25), 배신(요 13:30), 부인(마 26:34)하는 시간이다.|뉙스는 밤을 형식적으로 가리키는데서도 사용된다(예: 마 4:2; 마 12:40).|특별히 사도행전에서 뉙스는 하나님의 능력을 나타내는 활동의 시간으로 사용된다. 천사들이 자기들의 임무를 수행하고(눅 2:8이하; 행 5:19; 행 12:6이하; 행 27:23), 하나님께서 환상으로 인간에게 말씀하시며(행 16:9; 행 18:9; 행 23:11), 꿈에 저를 지시하신 것(참조: 마 2:12, 마 2:22)은 밤이다. 밤에 피난이나 여행을 했다(마 2:14).||(b) 비유적으로 뉙스는 스코티아($4653: 어두움)를 의미할 수 있으며, 프호스($5457: 빛)와는 대조적으로 하나님 혹은 그리스도로부터 소원된 상황을 묘사한다(요 11:10; 요 9:4). 유사한 의미로 바울은 뉙스를 사용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밝아 올 구원의 때와 관계된 헤메라(날, 낮)와 대조시키고 있다: "너희는 다 빛의 아들이요 낮의 아들이라 우리가 밤이나 어두움에 속하지 아니하나니 그러므로 우리는 다른 이들과 같이 자지 말고 오직 깨어 근신할지라 자는 자들은 밤에 자고 취하는 자들은 밤에 취하되"(살전 5:5 - 살전 5:7).|같은 방법으로 롬 13:12에서 뉙스와 헤메라를 대조시킴으로써 옛 시대(지나가게 될)와 새 시대(바야흐로 도래하고 있는)의 대조적인 것을 설명하고 있다: "밤이 깊고 낮이 가까왔으니 그러므로 우리가 어두움의 일을 벗고 빛의 갑옷을 입자".|그리스도를 붙잡고 있는 자는 더 이상 밤의 저주에 있지 않다: "너희는 다 빛의 아들이요 낮의 아들이라 우리가 밤이나 어두움에 속하지 아니하나니"(살전 5:5). 그는 이제 잠자는 자나 혹은 술에 취해있는 자가 아니라(살전 5:7), 깨어있는 자다(살전 5:5이하). "밤에 도적같이" 임할 마지막 날에 수반될 어두움 뒤에는(눅 17:34; 계 8:12), 하늘의 예루살렘은 그러한 자를 받아들일 것이며 밤은 더 이상 없을 것이다(계 21:25). "이는 주 하나님이 저희에게 비취심이라"(계 22:5).|(참조: H.C.Hahn; Walter Bauer; J.H.Thayer; G.Delling).
오이코도모스
oijkodovmo"
건축가||#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오이코도모스(Hdt. Xen., Plat.)는 오이코스($3624: 집, 거처)와 네모(짓다, 세우다)에서 유래했으며, '세우는(짓는) 자, 건축가'를 의미한다.||#2. 신약성경의 용법.||명사 오이코도모스는 신약성경에서 행 4:11에 한번 나온다: "이 예수는 너희 건축자들의 버린 돌로서 집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었느니라".|(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오포라
ojpwvra
여름 실과, 실과||#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오포라(Homer 이래)는 '늦은 여름, 익은 열매'를 의미한다.||#2. 70인역본의 용법.||명사 오포라는 70인역본에서 3회 나오며, 히브리어 카이즈의 역어로 사용되었으며, '여름 실과'(렘 40:10, 12; 48:32)를 나타낸다.||#3. 신약성경의 용법.||명사 오포라는 신약성경에서 계 18:14에 한번 나온다: "바벨론아 네 영혼의 탐하던 과실이 네게서 떠났으며 맛 있는 것들과 빛난 것들이 다 없어졌으니 사람들이 결코 이것들을 다시 보지 못하리로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화 있도다
oujaiv
오호, 슬프다, 화가 있으리라||우아이(En., Epict)는 기본 감탄사이며, '오호!, 우!, 슬프다, 화가 있으리라'(슬픔 혹은 비난의 표현)을 의미한다.|신약성경에서 우아이는 47회 사용되었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우데
oujdev
그리고 아니, ~도 ~도 아니다.||우데( Homer. 이래)는 우($3756)와 데($1161)에서 유래했으며, '그리고 아니' and not, '~도 ~도 아니다' neither, '~조차도 아니다' not even를 의미한다.|신약성경에서 우데는 142회 사용되었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것이 없는
oujdeiv"
하나도 아닌, 아무도 아닌||우데이스(Homer. 이래)는 우데($3761: 그리고 아니)와 헤이스($1520: 하나)에서 유래했으며, '하나도 아닌, 아무도 아닌, 어떤 것도 아닌'을 의미한다.|신약성경에서 우데이스는 227회 사용되었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도무지 …못하다
oujdevpote
전혀 아닌, 결코 ~아닌.||우데포테(Homer. 이래)는 우데($3761: 그리고 아니)와 포테($4218: 이전에, 일찍이, 언젠가)에서 유래했으며 '전혀 아닌, 결코 ~아닌'을 의미한다.|신약성경에서 우데포테는 16회 사용되었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아직 …못하다
oujdevpw
아직 ~ 않다.||부사 우데포(Aeschyl., Pla. 이래)는 우데($3761)와 전접 불변사 포($4452)에서 유래했으며, '아직...않다'를 의미한다.|·눅 23:53, "이를 내려 세마포로 싸고 아직 사람을 장사한 일이 없는 바위에 판 무덤에 넣어 두니".|·요 7:39, "이는 그를 믿는 자의 받을 성령을 가리켜 말씀하신 것이라 (예수께서 아직 영광을 받지 못하신 고로 성령이 아직 저희에게 계시지 아니하시더라)".|·요 19:41, "예수의 십자가에 못 박히신 곳에 동산이 있고 동산 안에 아직 사람을 장사한 일이 없는 새무덤이 있는지라".|·요 20:9, "(저희는 성경에 그가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야 하리라 하신 말씀을 아직 알지 못하더라)".|·고전 8:2, "만일 누구든지 무엇을 아는 줄로 생각하면 아직도 마땅히 알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이요".|(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우쿤
oujkou'n
그러므로, 그렇다면||우쿤(trag., Pla., Xen. 이래)은 우쿤(%792: 그런 까닭이 아닌)에서 유래한 부사이며 '그러므로 ~아니'를 의미하지만, 이 단어가 긍정적으로 사용되어 '그러므로, 그렇다면'이란 의미를 지니며, 부정적 의미가 사라진다.|신약성경에서 요 18:37에 한번 나온다: "빌라도가 가로되 그러면 네가 왕이 아니냐 예수께서 대답하시되 네 말과 같이 내가 왕이니라 내가 이를 위하여 났으며 이를 위하여 세상에 왔나니 곧 진리에 대하여 증거하려 함이로라 무릇 진리에 속한 자는 내 소리를 듣느니라 하신대".|(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ou+'n
그러므로, 그러면.||운(Homer 이래)은 기본어이며, '무엇 때문에, 왜', '그러므로', '그러면'을 의미한다. 신약성경에서 약 490회 사용되었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하늘로서
oujranovvqen
하늘로부터 from heaven||#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부사 우라노덴(Hom., Hes)sms 우라노스($3772: 하늘)에서 유래했으며, '하늘로부터' from heaven를 의미한다.||#2. 신약성경의 용법.||부사 우라노덴은 신약성경에서 사도행전에만 2회 나온다.||(a) 행 14:17, "그러나 자기를 증거하지 아니하신 것이 아니니 곧 너희에게 하늘로서 비를 내리시며 결실기를 주시는 선한 일을 하사 음식과 기쁨으로 너희 마음에 만족케 하셨느니라 하고".||(b) 행 26:13, "왕이여 때가 정오나 되어 길에서 보니 하늘로서 해보다 더 밝은 빛이 나와 내 동행들을 둘러 비추는지라".|(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oujranov"
하늘 heaven.||명사 우라노스(Homer. 이래)는 히브리어 샤마임에 해당하며 '하늘, 창공'을 의미하며, 다음 의미로 사용되었다.||(a) 천정 모양의 광활한 하늘 공간.|① 일반적으로 땅의 반대어로서 '하늘', 히 1:10; 벧후 3:5, 벧후 3:10, 벧후 3:12 등.|② '대기권의 하늘', 마 16:2; 약 5:18; 눅 9:54; 행 9:3; 계 13:13; 계 16:21 등.|③ 별들이 있는 '하늘', 히 11:12; 막 13:25; 계 6:13; 계 12:4 등.||(b) '하나님이 거하시는 곳인 하늘', 마 23:22; 행 7:49; 계 4:1 이하; 계 11:13; 계 16:11; 마 5:16; 마 6:1, 마 6:9; 요 3:13, 요 3:31; 요 6:38 등을 의미한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