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해설 374 페이지 > 기독정보닷컴


cwvra
장소, 지역, 시골, 용지, 밭, 들||명사 코라(Homer. 이래)는 카스코(%747: 하품하다)에서 유래했으며, '지방, 나라, 땅'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사용되었다.||(a) '공간, 장소, 지방, 지역', 마 8:28; 막 6:55; 눅 15:13; 요 11:54; 행 10:39.|(b) 도시와 대조되는 '시골, 촌', 요 11:55; 행 8:3.|(c) 메마른 '육지', 행 27:27.|(d) '밭, 농장, 들', 눅 12:16; 눅 21:21; 요 4:35; 약 5:4.|(e) '죽음의 그늘의 땅', 마 4:16.|(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용신하다
cwrevw
받다, 퍼뜨리다, 후회하다.||#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동사 코레오(Homer 이래)는 코라($5561: 공간, 장소, 지방, 시골나라, 땅)에서 유래되었으며, 다음의 의미를 지닌다.||(a) 코레오는 자동사로 '물러서다' 즉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움직이다라는 의미를 지닌다.|① 사람에게 사용될 때 '전쟁터에서 퇴각하다', 전치사와 함께 확대된 의미로 '달려들어 어떤 일을 수행하다', 즉 '반역하다'(Appian, Bella civilia), '어떤 행동을 후회하게 되다'(De Fluviis).|② 사물들에 사용될 때 '사물들을 움직이다', 신체의 유동성분(Aristot., Problemata), 소식이나 명령을 '퍼뜨리다'(Xen., Plato), 어떤 과정이나 사업의 '방향을 잡다'(Thuc.)를 의미한다.||(b) 코레오는 타동사로|① '들어올릴 수 있다, 잡을 수 있다'(움푹한 것, 그릇들에 대하여, Diod.).|② 확대된 의미로 '~을 참을 수 있다'(도시에 대해, Dem.)를 의미한다.|③ 기독교 후기 시대에 지성적, 영적 수용력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다(Plut.).||#2. 70인역본의 용법.||동사 코레오는 70인역본에서 12회 나오며, 히브리어 나사(5375), 쿨(3557), 바이트(1004), 하자크(2388)등의 역어로 사용되었다.|70인역본에서 코레오는 용기들의 수용 용량(왕상 7:26; 왕상 7:38; 왕상 18:32; 대하 4:5)과 능력의 수용(창 13:6)을 나타낸다.||#3. 신약성경의 용법.||동사 코레오는 신약성경에서 10회 나오며, 다음과 같이 사용되었다.||(a) 코레오는 자동사로 사용되었다.|① 벧후 3:9, "주의 약속은 어떤 이의 더디다고 생각하는 것 같이 더딘 것이 아니라 오직 너희를 대하여 오래 참으사 아무도 멸망치 않고 다 회개하기에 이르기를 원하시느니라". 여기서 코레오는 '어떤 일을 후회하다'를 의미한다. 이 사상은 아마도 있음직한 일회적 행동에 대한 것 같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 최후의 심판을 지연시킨다는 데서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② 마 15:17, "입으로 들어가는 모든 것은 배로 들어가서 뒤로 내어 버려지는 줄을 알지 못하느냐". "배로 들어가서"라는 문구는 의학의 생리적 과정에 대한 묘사와 일치한다. 이 문구는 정신과 의지의 자연스런 작용과는 무관한 것을 나타낸다.|③ 요 8:37, "나도 너희가 아브라함의 자손인줄 아노라 그러나 내 말이 너희 속에 있을 곳이 없으므로 나를 죽이려 하는도다". 여기서 코레오는 '퍼지다, 진행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 동사는 유대의 반대자들의 마음에 예수님의 말씀이 들어가지 않음에 적용되고 있다. 이곳에서 엔($1722: ~안에)이 에이스($1519: ~안으로)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예수님의 말씀이 들어갈 통로를 찾지 못한다는 의미를 나타낸다는 가정은 근거가 희박하다. 그리하여 요 8:30의 문맥에 비추어보면 예수님은 유대인들이 그의 가르침을 듣고 시인하면서도 아직 효력을 나타내지 않는 것에 대해 말씀하신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반면에 요 8:31과 요 8:37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다. 여기서 중요한 사상은 인간이 죄의 속박에서 자유롭게 되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요 8:32; 요 8:34).||(b) 코레오는 타동사로 사용되었다.|① 코레오는 수용능력에 대해 사용되었다.|·요 2:6에서 항아리들의 용량: "거기 유대인의 결례를 따라 두 세 통 드는 돌 항아리 여섯이 놓였는지라".|·막 2:2에서 한 장소의 수용능력: "많은 사람이 모여서 문 앞에라도 용신할 수 없게 되었는데 예수께서 저희에게 도를 말씀하시더니".|·요 21:25에서 이 세상의 능력: "예수의 행하신 일이 이 외에도 많으니 만일 낱낱이 기록된다면 이 세상이라도 이 기록된 책을 두기에 부족할 줄 아노라".|② 코레오는 예수님의 묵시적 교훈을 받거나 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수께서 가라사대 사람마다 이 말을 받지 못하고 오직 타고난 자라야 할찌니라 어미의 태로부터 된 고자도 있고 사람이 만든 고자도 있고 천국을 위하여 스스로 된 고자도 있도다 이 말을 받을만한 자는 받을찌어다".(마 19:11-12; 참조: 마 19:9-10).|그 의미는 비유의 가르침을 이해하고 파악함에 해당한다(참조: 마 13:11; 마 13:16이하, 마 13:19; 마 13:23).|위의 예문들 모두에서 마태는 제자들의 이해를 강조한다. 코레오는 이해의 범위를 초월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가르침을 받아들여 이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가리키고 있다.|③ 마 19:12, "어미의 태로부터 된 고자도 있고 사람이 만든 고자도 있고 천국을 위하여 스스로 된 고자도 있도다 이 말을 받을만한 자는 받을찌어다". 여기서 초기 기독교에서 발견되는 묵시적 경고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이는 어떤 일에 대한 통찰력 또는 은사를 받아 사용하는 한 집단을 훈계하며 이로 인하여 이 집단을 다른 집단으로부터 구별하고 있다.|④ 고후 7:2, "마음으로 우리를 영접하라 우리가 아무에게도 불의를 하지 않고 아무에게도 해롭게 하지 않고 아무에게도 속여 빼앗은 일이 없노라". 바울의 "우리를 영접하라"라는 청원은 앞에 나오는 마음을 넓히라는 청원의 뒤를 잇는 것이며(참조: 고후 6:13) "너희가 우리 안에서 좁아진 것이 아니라 오직 너희 심정에서 좁아진(스테노코레이스데) 것이라"(참조: 고후 6:12)라는 언급과 일치한다. 고린도인들은, 바울이 그의 사도적 사역에서 자신을 그들이 알도록 내어 주었음을 깨달아야 했다. 그럼으로써 그들은 주 예수님의 날에 서로를 자랑할 수 있는 것이다(참조: 고후 1:14).|(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P. Schmidt).
갈리다
cwrivzw
나누다, 분리하다, [수동태] 떠나다, 벗어나다, 나누어지다||#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동사 코리조(Hdt. 이래)는 코리스($5565)에서 유래했으며, `나누다, 분리하다, 가르다, 떼어놓다', 수동태로 `떠나다, 벗어나다, 나누어지다, 분리되다, 헤어지다'를 의미한다.|세속 헬라 저자들은 코리조를 사람이 죽을 때 영혼이 육체를 떠나는 것(plato) 또는 적군을 나누어 분리시키는 것과 같은 그런 분리를 나타내기 위하여 문자적인 의미로 사용했다. 비유적인 의미로는 동사가 종종 사상의 분열, 즉 논리상의 구분이나 괄목할만한 차이점을 나타낸다.||#2. 70인역본의 용법||코리조는 70인역본에서 약 14회 나오며, 주로 바달(분리하다, 가르다)의 역어로 사용되었다. 이 코리조는 사람들이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것(레 13:46; 삿 4:11) 또는 물건들이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것(에스드라상 5:39), 떠남, 출발(삿 6:18; 마카베오이서 10:19; 12:12), 실직(에스드라상 5:39),악에서의 분리, 악에서 떠남(스 9:1; 느 9:2; 에스드라상 7:13; 9:9)을 의미한다. 이 코리조는 수동태에서 이혼, 즉 `한 사람을 다른 사람과 떼어놓다, 서로 갈라지다'를 의미한다.||#3. 신약성경의 용법||코리조는 신약성경에서 13회 나오며, 다음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a) 코리조는 공간적 분리를 나타낸다. 몬 1:15에서 육체적으로 떠나는 것을 나타낸다: "저가 잠시 떠나게 된 것은 이를 인하여 저를 영원히 두게 함이니".|행 1:4에서 도시나 지역을 떠나는 것을 나타낸다: "사도와 같이 모이사 저희에게 분부하여 가라사대 예루살렘을 떠나지 말고 내게 들은 바 아버지의 약속하신 것을 기다리라".|행 18:1, 행 18:2에서도 마찬가지다: "이 후에 바울이 아덴을 떠나 고린도에 이르러, 아굴라라 하는 본도에서 난 유대인 하나를 만나니 글라우디오가 모든 유대인을 명하여 로마에서 떠나라 한 고로 그가 그 아내 브리스길라와 함께 이달리야로부터 새로 온지라 바울이 그들에게 가매".||(b) 코리조는 비유적인 분리를 나타낸다.|① 롬 8:35; 롬 8:39에서 분리 곧 단절을 나타낸다: "누가 우리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끊으리요 환난이나 곤고나 핍박이나 기근이나 적신이나 위험이나 칼이랴"(롬 8:35), "높음이나 깊음이나 다른 아무 피조물이라도 우리를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으리라"(롬 8:39).|역경(롬 8:35-롬 8:36), 피조물이나 인생의 국면(롬 8:38-롬 8:39)들도 그 사랑을 끊을 수 없는 것이다.|② 히 7:26에서 분리 곧 떠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대제사장은 우리에게 합당하니 거룩하고 악이 없고 더러움이 없고 죄인에게서 떠나 계시고 하늘보다 높이 되신 자라".|여기서 "죄인에게서 떠나(케코리스메노스) 계시고"라는 문구가 선행구 "거룩하고 악이 없고 더러움이 없고"와 결합되어 있는 것이라면 이것은 그리스도의 무죄하심을 말하는 것이다. 만일 이 문구가 다음에 이어지는 "하늘보다 높이 되신"이란 문구와 연결이 된다면 이것은 예수님께서 악한 세상에서 떠나 계심을 말하는 것이다. 아마 저자는 그리스도의 분리성을 정신적인 것과 공간적인 것 양면으로 우리에게 이해시키려는 것 같다.||(c) 코리조는 이혼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다.|① 마 19:6(병행구, 막 10:9)에서 이혼 곧 부부를 떼어 놓거나 가르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즉 이제 둘이 아니요 한 몸이니 그러므로 하나님이 짝지어 주신 것을 사람이 나누지 못할지니라 하시니".|바리새인들은 이혼을 허용할 수 있는 이유에 관하여 그 당시 샴마이(Shammai ) 학파와 힐렐(Hillel )학파 사이의 논쟁에 거론된 여러 면들을 들어 예수님을 시험하려고 했다(참조: 신24:1-신 24:4). "아무 연고를 물론하고 그 아내를 내어 버리는 것이 옳으니이까"(마 19:3). 본문은 이에 대해 예수님은 모세의 어떤 율법보다도 선행하는 하나님의 명령에 호소하여 대답했다.|(참조: 신 24:1-신 24:4; 창 2:24).|부부 두 사람은 하나님이 명하신 혼인이라는 결속으로 "한 육체"가 된 것이다. 하나님이 짝지어 주신 것(마 19:6)을 나누려(메 코리제토)함으로써 인간이 하나님의 일을 망치지 말아야 한다.|② 고전 7:10에서 여자는 남편에게서 갈리지(이혼) 말아야 한다: "혼인한 자들에게 내가 명하노니 (명하는 자는 내가 아니요 주시라) 여자는 남편에게서 갈리지 말고". 그렇지만 만일 여자가 갈리면 독신으로 지내야 한다: "(만일 갈릴지라도 그냥 지내든지 다시 그 남편과 화합하든지 하라) 남편도 아내를 버리지 말라"(고전 7:11). 동일한 원칙은 만일 불신자의 남편이 믿는 그의 아내로부터 갈라설 때도 적용된다: "혹 믿지 아니하는 자가 갈리거든 갈리게 하라 형제나 자매나 이런 일에 구속받을 것이 없느니라 그러나 하나님은 화평 중에서 너희를 부르셨느니라"(고전 7:15).|여기서 우리는 "화평 중에서 너희를 부르셨느니라"(문자적으로 "화평을 위하여 너희를 부르셨다"고 번역할 수 있다)는 말을 특별히 유의해야 한다. 여기는 믿는 자가 믿지 않는 배우자를 위한 선교적 사명이 있음을 암시한다.|(참조: 고전 7:16).|(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M. J. Harris).
코리온
cwrivon
장소, 땅, 밭, 토지||#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코리온(Hdt. 이래)은 코라($5561)의 지소사이며,||(a) '공간, 장소', 마 26:36; 막 14:32.|(b) '한 구획의 땅, 들, 밭, 토지', 요 4:5; 행 1:18; 행 1:19; 행 4:34; 행 5:3; 행 5:8; 행 28:78.|(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고사하고 오히려
cwriv"
~없이, ~아니면, ~외에||부사 코리스(Homer 이래)는 코라($5561: 공간, 장소, 지방, 시골, 나라, 땅)에서 유래했으며, 신약성경에서 41회 사용되었다.||(a) 코리스는 '따로 따로, 갈라져, 떨어져서, 단독으로'를 의미한다(요 20:7).||(b) 코리스는 전치사로서 속격과 함께|① '~없이, ~아니며, ~제외하고'; 빌 2:14; 딤전 2:8; 요 15:5; 엡 2:12; 히 11:40; 롬 3:21; 눅 6:49등.|② '~외(밖)에, ~위에'; 마 14:21; 마 15:38; 고후 11:28.|(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서북
cw'ro"
북서풍 The north-west wind||#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코로스(Homer. 이래)는 '북서풍'을 의미한다.||#2. 신약성경의 용법.||명사 코로스는 신약성경에서 롬 27:12에 한번 나온다: "그 항구가 과동하기에 불편하므로 거기서 떠나 아무쪼록 뵈닉스에 가서 과동하자 하는 자가 더 많으니 뵈닉스는 그레데 항구라 한편은 동북을, 한편은 동남을 향하였더라"|(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프살로
yavllw
(찬송 혹은 찬양을) 노래하다 sing.||#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동사 프살로(Homer 이래)는 본래는 '손을 대다(touch)', 그 다음에 '(털을) 뽑다(pluck)', '활 시위를 튕기다', '현악기를 연주하다'를 의미하게 되었다.||#2. 70인역본의 용법||동사 프살로는 70인역본에서 약 50회 이상 나오며, 자말, 나간의 역어로 '현악기를 연주하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3. 신약성경의 용법||동사 프살로는 신약성경에서 5회 나오며, 다음의 의미로 사용되었다.||(a) 롬 15:9에서 프살로는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찬양송을 부르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방인으로 그 긍휼하심을 인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하심이라 기록된 바 이러므로 내가 열방 중에서 주께 감사하고 주의 이름을 [찬송하리로다] 함과 같으니라".||(b) 고전 14:15에도 노래하는 것이 영의 표현으로 간주하고 있다.: "내가 만일 방언으로 기도하면 나의 영이 기도하거니와 나의 마음은 열매를 맺히지 못하리라, 그러면 어떻게 할꼬, 내가 영으로 기도하고 또 마음으로 기도하며, 내가 영으로 [찬미하고] 또 마음으로 [찬미하리라]"(고전 14:14이하).|내가 성령에 의해 감동되고 인도된 나의 영혼 전체로써 하나님에 대한 찬양가를 노래할 것이다. 그러나 나는 또한 나의 안내자인 이성을 따를 것이다. 그리하여 내가 노래하는 것이 나 자신에 의해서와 듣는 자들에 의해서 똑같이 이해될 수 있게 할 것이다'(참조: J.H.Thayer). 여기에서 대조는 토 프뉴마티(영으로 혹은 영 안에서; 이 영은 화자의 영이거나 혹은 성령인 것 같다)와 토 노이(마음으로 혹은 마음 안에서) 사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영으로 깨닫지 못하고(방언으로) 가르치지 못하는 것과 영으로 깨달은 것 사이에 있다(참조: 고전 16-19).||(c) 엡 5:19에서 찬양의 찬송가나 찬양의 노래는 세례(침례) 받은 자들의 공동체 안에서 지금 활동하고 계신 하나님의 영에 대한 표현이다: "시와 찬미와 신령한 노래들로 서로 화답하며 너희의 마음으로 주께 노래하며 [찬송하며]".||(d) 약 5:13에서 프살로는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을 표현한다: "너희 중에 고난당하는 자가 있느냐 저는 기도할 것이요 즐거워하는 자가 있느냐 저는 [찬송할지니라]". 이 대답은 '독실한 기독교인이 역경과 행운에 대하여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응답으로 주어진 것이다. 우리의 감정을 알아들을 수 있는 형태로 표현되어야 하며, 이는 하나님을 향하고 있는 것이어야 한다.|(참조: K.H.Barfels; G.Delling).

yalmov"
신성한 노래 a sacred song, 찬송가 시편 psalm.||#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프살모스(Pind., Aeschyl. 이래로)는 프살로($5567, 줄을 튕기다)에서 유래했으며, '줄을 튕김'이라는 의미에서 현악기의 '연주'를 의미하게 되었다. 따라서 프살모스는 일반적으로 '악기 소리' 혹은 '실제로 생겨나는 소리'를 가리킨다(프살모스는 수금이 내는 실제 소리이다).||#2. 70인역본의 용법||(a) 프살모스는 70인역본에서 오직 시편의 제목으로 약 50회 이상 미즈모르(성시, 시편)의 역어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다른 히브리어들의 역어로 사용되어, 애 3:14에서는 '조롱하는 노래', 애 5:14에서는 '현악기의 연주', 시 8:2에서는 '현악기', 시 95:2에서는 '현악기에 따라 부르는 노래'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프살모스는 악기 반주가 언급되었든지 그렇지 않든지 간에 이 '어떤 영가'를 의미하기도 한다(참조: 시 33[32]:2). 영가는 삼상 16:16,18(프살레인 엔 키뉘라: 수금에 맞춰 노래하다)에 시사되어 있는 것 같다. 그러나 혹자는 이는 세속적인 음악을 뜻하는 것이라고 믿는다.|끝으로, 프살모스는 시 69[68]:12의 술취한 사람의 노래와 같이 불경스러운 노래를 언급하기도 한다.||(b) 시편(거의 언제나 다윗의 찬송을 의미하나, 후기에 가서는 쿰란 종파의 찬송가를 포함한 시들을 의미하기도 한다)의 특별한 의미는 대개 그것들이 유대 회당 예배의 중추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에 있다. 몇 개의 개별 시편들이나 시편 모음 집들, 가령 시 105:1-15및 시편 96편 같은 것들은 신실한 유대인의 일상적인 기도 형식을 포함하고 있다.||#3. 신약성경의 용법||명사 프살모스는 신약성경에서 7회 나오며,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a) 프살모스는 구약성경의 시편이나 혹은 소위 케두빔(문서들)을 의미한다.||(b) 프살모스는 찬양송(hymn of praise)를 의미한다. 찬양의 찬송가나 찬양의 노래는 세례(침례) 받은 자들의 공동체 안에서 지금 활동하고 계신 하나님의 영(엡 5:18이하; 골 3:16)이나 하나님 자신(고전 14:25이하)에 대한 전형적인 표현이다. 여기에는 반복되는 예배식 후렴 뿐 아니라 자유로운 작곡(참조: O.Cullmann, Early Christian Worship) 또는 우리가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여러 가지 노래의 어법에서 알게 된 것과 같은(참조: 계 5:9이하; 계7:12; 계 11:15; 계 11:17이하; 계 15:3이하; 계 19:1이하; 계 19:6이하; 계 5:9과 계 15:3) 새로운 기독교인의 노래들도 포함될 것이다.|(참조: K.H.Barfels; G.Delling; Walter Bauer).
거짓 형제
yeudavdelfo"
거짓 형제 false brother||#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프슈다델포스는 프슈데스($5571: 거짓말 하는, 그릇된, 거짓의)와 아델포스($80: 형제)에서 유래했으며, '거짓 형제'를 의미한다.||#2. 신약성경의 용법.||명사 프슈다델포스는 신약성경에서 2회 나오며, 고린도후서와 갈라디아서에서 사용되었다.|① 고후 11:26, "여러번 여행에 강의 위험과 강도의 위험과 동족의 위험과 이방인의 위험과 시내의 위험과 광야의 위험과 바다의 위험과 거짓 형제 중의 위험을 당하고".|② 갈 2:4, "이는 가만히 들어온 거짓 형제 까닭이라 저희가 가만히 들어온 것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의 가진 자유를 엿보고 우리를 종으로 삼고자 함이로되".|프슈다델포스는 그릇된 교훈을 퍼뜨리거나 그것을 인정하는 사악한 형제이다. 이러한 자는 자신의 행위로 말미암아 하나님과의 친교에서 제외되며 더 이상 하나님의 가족의 일원이 되지 못한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거짓 사도
yeudapovstolo"
거짓 사도 false apostle||명사 프슈다포스톨로스는 프슈데스($5571: 거짓말 하는, 그릇된, 거짓의)와 아포스톨로스($652: 사자, 사도, 사절로 보낸 자)에서 유래했으며, '거짓 사도, 거짓으로 그리스도의 사자라고 주장하는 자'를 의미한다.|신약성경에서 프슈다포스톨로스는 고후 11:13에 한번 나온다: "저런 사람들은 거짓 사도요 궤휼의 역군이니 자기를 그리스도의 사도로 가장하는 자들이니라". 여기에서 바울은 프슈다포스톨로스를 '자기를 그리스도의 사도로 가장하는 자'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거짓사도는, 그들이 하나님 혹은 그리스도께 전적으로 헌신하지 않은 것에서 볼 수 있듯이 그리스도에 의해 권세를 부여 받지 않는다. 그들을 '지극히 큰 사도'(참조: 고후 11:5)로 묘사한 것은 매우 풍자적이다. 왜냐하면, 사도의 지위 자체는 비교할 수 없는 것이며 겸손으로 특징 지워지기 때문이다. 아마도 바울은 그의 사도직을 논쟁하는 유대교화한 적대자를 염두에 두고 있다(참조: 갈 1:1). 기독교인들, 아마도 바울 그 자신이, 명백한 의미에서의 아포스톨로스는 기독교인의 기원이라는 명제를 뒷받침해주는 이 용어를 만들어 낸 것 같다. 이와 동일한 개념을 나타내는 계 2:2 (자칭 사도라 하되 아닌 자)을 참조하라.|(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K. H. Rengstore).
거짓
yeudhv"
속이는, 거짓된, 거짓말하는, 거짓말장이.||#1. 고전 헬라어 문헌||프슈데스는 프슈도마이($5574:거짓말하다, 거짓말로 속이다)에서 유래했으며, '진실하지 않은, 거짓된'을 뜻하며, 명사로 쓰일 때에는 '거짓말장이' 라는 의미를 가진다.||#2. 70인역본의 역본||프슈데스는 70인 역본 구약성경에서 90 여회 나오며, 주로 '사기, 속임수, 거짓'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셰케르의 역어로 사용되었다.||#3. 신약성경의 용법||프슈데스는 신약성경에서 3회 나온다. 행 6:13에서 유대 종교 지도자들은 스데반을 고소할 만한 진짜 죄과를 찾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전에 예수께 했던 것과 같이(막 14:56 - 막 14:57) 거짓 증인들을 세웠다. 그들은 선언하기를 이 사람이 거룩한 곳과 율법을 거스려 말하기를 마지 아니하는도다고 하였다. 그들이 그를 고소할만한 죄과가 이보다 더 심각한 것은 있을 수 없었다. 성경과 율법은 유대인들이 가장 신성시하는 것들이었다. 이것들에 거스려 말한다는 것은 사형에 처할만한 죄로 간주되었다.|계 2:2에서 에베소 교회는 "자칭 사도라 하되 아닌 자들을 시험하여 그 [거짓된 것을] 드러내었다". 여기서 프슈데스는 '거짓말하는 것'이나 '거짓말장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복수가 사용되었다.|계 21:8에서 "모든 [거짓말하는 자]는" 어느 누구도 새 예루살렘에 들어가지 못하고, 불못에 참예한다.|(참조: U.Becker; H.G.Link).
거짓 선생
yeudodidavskalo"
거짓 선생 false teacher||명사 프슈도디다스칼로스는 프슈데스($5571: 거짓말 하는, 그릇된, 거짓의)와 디다스칼로스($1320: 교사)에서 유래했으며, '거짓 선생'을 의미한다.|신약성경에서 프슈도디다스칼로스는 벧후 2:1에 한번 나온다: "그러나 민간에 또한 거짓 선지자들이 일어났었나니 이와 같이 너희 중에도 거짓 선생들이 있으리라 저희는 멸망케 할 이단을 가만히 끌어들여 자기들을 사신 주를 부인하고 임박한 멸망을 스스로 취하는 자들이라". 여기에서 거짓 교사들은 예전의 거짓 선지자와 같은 부류의 사람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들은 멸망케 할 이단을 몰래 끌어들여 자기들을 사신 주를 부인할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스스로 급속히 멸망을 자초할 것이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K. Wegenast).
프슈돌로고스
yeudolovgo"
거짓으로 말하는 speaking falsely||#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형용사 프슈돌로고스(Aristoph. 이래)는 프슈데스($5571: 거짓말 하는, 그릇된, 거짓의)와 로고스($3056: 말씀, 진술, 연설)에서 유래했으며, '거짓으로 말하는, 거짓말하는'을 의미한다.||#2. 신약성경의 용법.||형용사 프슈돌로고스는 신약성경에서 딤전 4:2에 한번 나온다: "자기 양심이 화인 맞아서 외식함으로 거짓말하는 자들이라". 그들은 자기들이 선전하는 것이 거짓말하는 것임을 알면서도 의식적인 노력으로 속인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들은 외식함으로 거짓말하는 자들이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거짓말을 하다
yeuvdomai
거짓말하다 lie, 거짓말로 속이다 deceive by lying.||#1. 고전 헬라어 문헌||동사 프슈도 또는 중간태 프슈도마이는 어근 프세드(%47)에서 유래했으며, '거짓말하다, 거짓말로 속이다'를 의미한다.||#2. 70인역본의 역본||동사 프슈도 또는 프슈도마이는 70인 역본 구약성경에서 26 여회 나오며, 주로 '부정하다 deny, 부인하다 disclaim, 남몰래 행동하다 act secretively, 속이다 deceive, 거짓말하다 lie'라는 뜻을 가진 히브리어 카하스의 역어로 사용되었다.||#3. 신약성경의 용법||동사 프슈도마이는 신약성경에서 12회 고전 헬라어의 용법과 같이 사용되었다.||(a) 신약성경은 프슈도 어군을 사용하여 하나님의 진실하심과 하나님의 진리에 관한 구약성경의 증언을 다루고 있다. 하나님은 "거짓이 없으신 하나님"(딛 1:2)이시다. 하나님의 진리는 헬라 사람들이 알레데이아($225)라는 말로써 이해하듯이 존재의 정체를 밝힘으로써 드러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하나님의 진리는 하나님께서 역사 안에서 하신 자신의 약속을 신실히 지키시는 것에서 나타나는 진실됨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것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하나님 계율의 불가변성을 강조하는 방식이다.|하나님께서는 이 약속을 맹세로 보증하셨다: "이는 하나님이 거짓말을 하실 수 없는 이 두 가지 변치 못할 사실을 인하여 앞에 있는 소망을 얻으려고 피하여 가는 우리로 큰 안위를 받게 하려 하심이라"(히 6:18).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일으키신 하나님이 진리의 근원인 까닭에, 바울은 최후의 수단으로 하나님은 자기가 거짓말을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아신다고 하는 주장으로써 자신의 입장을 변호할 수 있었다(고후 11:31; 갈 1:20).||(b) 진리와 거짓이라는 대립 개념은 예수님의 제자와 그의 적(敵)을 구별하는 결정 요소일 뿐만 아니라 그것은 또한 그리스도의 교회 안에서 진리의 말씀에 대한 복종과 불복종에서도 작용한다. 윤리적 문제로서의 거짓말은 언쟁이나 음란과는 같은 차원에 있지 않다. 이러한 것은 지상에 발붙이고 있는 사람의 불완전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따라서 끊임없이 성화되어야 할 성격의 것이다. 그러나 거짓말은 사랑과 같이, 거짓의 권세에 지배되느냐 아니면 사랑의 권세에 지배되느냐에 따라 결정되는 인간 조건의 기본적인 한 국면의 표현이다.|그러므로 행 5:3; 행 5:4은 "어찌하여 사단이 네 마음에 가득하여 네가 성령을 [속이고] 땅 값 얼마를 감추었느냐 … 사람에게 [거짓말한 것이] 아니요 하나님께로다"라고 말씀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프슈도마이는 두 번 나타나며, "거짓말로 속인다"라는 의미를 가진다. 아나니아의 죄는 그가 자기 재산을 일부를 빼돌렸다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에게는 자기 재산을 자기 뜻대로 처분할 권리가 있었기 때문이다. 오히려 그의 죄는 사실은 재산의 일부를 자기를 위하여 떼어 놓았으면서도 재산을 모두 교회에 내어 놓았다고 말함으로써 그것을 속이고 하나님께 거짓을 말하였다는 데에 있는 것이다(행 5:4).|요한일서에서 사람들이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자신을 잘못 평가하는 것이 의미하는 바는 교인의 신앙고백과 생활의 불일치는 양편 모두를 거짓된 것으로 만들어 버리기 마련이라는 것이다. 그리스도와 교제하고 있다고 말하면서 계속해서 어둠 속을 걷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것은 프슈도마이, 곧 거짓말을 하는 것이다(요일 1:6). 다음 요일 2:4; 요일 4:20도 참조하라.|이와 같은 경우에 기독교인의 말과 행동은 모두 거짓이 되며, 따라서 그에게서 하나님의 진리를 배제하게 된다. 여기에서도 역시, 요한일서에서 거짓말은 도덕적 범죄일 뿐 아니라 하나님 없는 실존의 표현이라는 사실이 분명해진다.|골로새서에 나오는 훈계가 거짓을 버리고 이웃으로 더불어 참된 것을 말하라고 할 때에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은 개별적인 단점으로서의 거짓말이다: "너희가 서로 거짓말을 말라"(골 3:9; 참조: 엡 4:25). 이 계명이 기독교인에게 요구되는 이유는, 기독교인은 "옛 사람"(엡 4:22; 골 3:9)을 벗어버렸고 "새 사람"(골 3:lO; 엡 4:24)을 입을 것이며, 따라서 거짓말하기를 그치는 경지에 이를 것이기 때문이다.|요한계시록도 거짓말을 특수한 개념으로 이해한다. 요한복음 및 요한일서에서 그러하듯이 요한계시록에서도 거짓말은 근본적으로 하나님에게 대적하는 것이라는 함축적 의미가 들어있다. 그래서 스스로 유대인임을 내세우면서 거짓말을 하는 빌라델비아의 유대인들은 "사단의 회"라고 묘사되었던 것이다(계 3:9).|(참조: U.Becker; H.G.Link).
거짓 증인
yeudomavrtur
거짓 증인 false witness||#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프슈도마르튀르는 프슈데스($5571: 거짓말하는, 거짓의)와 마르튀(증언, 증거)에서 유래했으며, '거짓 증인' a false witness을 의미한다.||#2. 신약성경의 용법.||명사 프슈도마르튀르는 신약성경에서 2회 나오며, 마태복음(마 26:60)과 고린도전서(고전 15:15)에만 사용되었다.||(a) 마 26:60에서 예수님에 대한 거짓 증인을 묘사한다: "거짓 증인이 많이 왔으나 얻지 못하더니 후에 두 사람이 와서"||(b) 고전 15:15에서 하나님에 관한 거짓 증인을 묘사한다: "또 우리가 하나님의 거짓 증인으로 발견되리니 우리가 하나님이 그리스도를 다시 살리셨다고 증거하였음이라 만일 죽은 자가 다시 사는 것이 없으면 하나님이 그리스도를 다시 살리시지 아니하셨으리라"|(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