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해설 10 페이지 > 기독정보닷컴

홈 > 성경 > 원어해설
원어해설
혈루증으로 앓다
ai;morjrJevw
피를 흘리다.||#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동사 하이몰로에오(Hippocr. 이래)는 하이마($129)와 레오($4482)에서 유래했으며, '피를 흘리다, 혈루증으로 고통 당하다'를 의미한다.||#2. 70인역본의 용법.||동사 하이몰로에오는 70인역본에서 레 15:33에서 다웨(불편한, 월경의)의 역어로 한번 나오며, '월경'을 나타낸다.||#3. 신약성경의 용법.||동사 하이몰로에오는 신약성경에서 마 9:20에 한번 나온다: "열 두 해를 혈루증으로 앓는 여자가 예수의 뒤로 와서 그 겉옷가를 만지니".|(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애니아
Aijneva"
찬양하다||인명 아이네아는 '찬양하다'를 의미하며, 중풍병자의 이름이다. 그는 중풍병으로 8년이나 침상에 누워 있었는데, 베드로가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고쳐 주었다(행 9:33 이하). 아마도 룻다 지방의 그리스도인 모임에 소속되었던 사람일 것이다.
찬미
ai[nesi"
찬양 praise.||#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아이네시스(Philod. 이래)는 아이네오($134: 찬양하다)에서 유래했으며, '칭찬, 찬미'를 의미한다.||#2. 70인역본의 용법.||명사 아이네시스는 70인역본에서 약 65회 나오며, 주로 히브리어 테힐라(찬양, 찬미, 찬송, 주로 시편), 토다(감사, 감사의 찬송, 감사제, 레 7:12 이하; 느 12:31; 느 12:37, 39, 46 등)의 역어로 사용되었다.||#3. 신약성경의 용법.||명사 아이네시스는 신약성경에서 히 13:15에만 나온다. 아이네시스는 기독교인의 희생 제사가 유대인의 희생 제사(히 13:10 이하와 함께 레 7:12 이하, 18절을 참조)와 대조되는 히 13:15에서 '찬미의 제사'라는 표현으로 나타난다. "찬미의 제사"는 받은 어떤 은택으로 인하여 하나님께 드리는 찬미의 제사를 말한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찬미하다
aijnevw
찬양하다 praise||#1. 고전 헬라어의 용법||동사 아이네오는 아이노스($136:찬양)에서 유래했으며, '찬미하다'를 의미한다. 세속 헬라어에서 아이네오는||(a) '언급하다' 특히 '명예롭게 말하다', 그리하여 '찬양하다' 라는 뜻이 되고,|(b) '서약하다, 약속하다', 그리하여 '간단히 말하다'라는 뜻이 되었다.||#2. 70인역본의 용법||70인역본에서 아이네오는 히브리어 할랄의 역어(주로 피엘형)로 사용된다(예를 들면, 삿 l6:24; 대상 16:4,10,36; 대하 8:14; 느 5:13; l2:24; 시 18(l7):3; 22(21):23, 26; 잠언 31:28, 30이하; 아 6:8; 요엘 2:26; 사 62:9; 렘 4:2; 20:13 등).|그리고 아이네오는 바락(찬양하다,축복하다 bless; 시 100[99]:4), 야다(고백하다; 창 49:8; 대상 16:7, 35, 41; 대하 5:13; 사38:18), 루아(큰 소리로 외치다 shout;욥 38:7),샤바(찬양하다,칭찬하다; 단 2:23; 5:23), 시르(노래하다; 시 106[l05]:l2)의 역어로 사용되었다.|아이네오는 느헤미야 12:37과 역대하 20:21의 완곡한 표현들에서도 나타난다. 또한 여러 구절에서 해당하는 상당어가 없이 사용되었다. 예를들면 느 12:36; 토빗서 13:11, 18; 유딧서 13:14; 에 4:17; 욥 33:30, 35:14; 지혜서 10:20; 19:9; 시락서 17:l0, 27이하; 21:15, 24:1 30:2; 39:9, 14; 47:6; 51:6; 렘 31(38):5; 바룩서 2:32; 3:6이하; 마카베오일서 4: 33; 마카베오삼서 2:8; 5:13,35; 6:32 등이다.|70 인역본에서 아이네오는 앞에서 언급된 의미, 즉 '찬미하다' praise 라는 뜻으로만 사용된다. 그러나 히브리어에 관해서는 현저한 변화가 있다. 힐렐이란 말이 세속적인 문맥 가운데에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예: 창 12:15에선 아름다운 여인에 대해서; 그리고 삼하 14:25에서 잘 생긴 남자에 대해서; 잠 27:2에서 자기 칭찬을 경계하는 말 가운데에서; 시 10:3에서 악인의 자랑에 대해서; 삿 l6:24에서 다곤신을 찬송하는 말로 사용된다).|70 인역본은 이와 같은 귀절들에서 그 말을 번역하는 말로 아이네오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을 할 수 있는 한 피하려고 했으며(참조: 삿 16:24B,S), 아이네오란 말은 정식예배에서, 특히 시편 l46편, 150편에서 하나님에 대한 규칙적인 찬양을 의미하는 말로 표현하려고 노력한다.||#3. 신약성경의 용법||동사 아이네오는 신약성경에서 8회 나오며, 개인(눅 2:20; 행 3:8 - 행 3:9), 단체(눅 l9:37), 공동체(행 2:47; 계 19:5), 천사들(눅 2:l3)이 드리는 찬송과 기도에서 하나님께 대한 기쁜 찬양을 가리켜 말한다.
희미함
ai[nigma
수수께끼||#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아이니그마는 아이닛소마이(%543: 수수께끼를 말하다)에서 유래했으며, '모호한 말, 종잡을 수 없는 말(puzzling saying), 수수께끼'를 의미하며, 핀타르와 아에쉴루스 이래로 나타난다.||#2. 70인역본의 용법.||명사 아이니그마는 70인역본에서 9회 나오며 히다(수수께끼, 난해한 말, 은밀한 말)의 역어로 4회, 샴마(놀램, 무서움; 신 28:37)의 역어로 1회, 그리고 히브리어 상당어 없이 3회 사용되었다.|수수께끼(한글개역, 어려운 문제, 왕상 10:1; 대하 9:1; 오묘한 말, 시 49:4[48:5 Aquila])는 솔로몬의 궁정에 존재했던 그 지혜 예찬의 일부이며, 지혜 문학에 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잠 1:6; 30:7-30). 구약성경에서 수수께끼가 말로 표현된 단 하나의 구절은 삿 14:12-20인데(히다는 70인역본에서는 프로블레마로 번역되었다), 이 수수께끼를 푸는데에 다른 수수께끼가 사용되었다(14:18). 핵심적인 단어는 "사랑" love이다. 비밀스런 말에는 설명적인 해석이 요구된다. 이 말은 신학(예: 발람, 민 23:7-18; 24:3, 15, 20-23)과 예언에 나온다. 하나님께서는 사람들에게 은밀한 말로 말씀하시나 모세에게는 은밀한 말로 말씀하지 않으셨다(민 12:8). 그렇지만 예언의 말도 역시 수수께끼이다(겔 17:2, Symmachus).||#3. 신약성경의 용법.||명사 아이니그마는 신약성경에서 고전 13:12에만 나오는데, 여기에서 현재에 보는 것과 대조되는 장차 볼 것을 말하고 있다. 이것은 '수수께끼'를 의미하며, 수수께끼 같은 말을 암시한다: 하나님께서는 선지자들(모세는 제외)에게 수수께끼(민 12:8, 한글개역-'은밀한 말로')로 말씀하신다. 여기에서 '수수께끼'는 이상(vision)과 동등한 것이다(12:6).|에솝트론($2072)과 비교: 에솝트론은 '유리를 통하여 보는 것'을 의미한다. 랍비들은 선지자들이 아홉 구름 거울을 통하여 하나님을 뵙는 반면, 모세는 하나의 깨끗한 거울로 그를 보았다고 한다. 여기서의 핵심은 고대 거울이 반드시 희미하다거나 단지 반사 밖에 하지 못한다는 것이 아니라 이것은 선지자의 계시의 한 형태라는 것이다.|따라서 아이니그마와 에솝트론 모두 다 선지자의 환상을 가리키는데, 이들은 뜻이 같은 말을 거듭하는 것이 아니다. 즉 전자는 선지자의 환상의 모호한 성질을 강조하고, 후자는 그것의 일반적인 형태를 강조한다. 우리는 거울을 통해서 단지 수수께끼와도 같이 희미하게 본다. 여기서 바울은 민 12:8의 히브리어 본문과 랍비 주석을 따르는 것 같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G. Kittel).
찬양
ai+no"'
찬양, 찬미||#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세속 헬라어에서 아이노스는 특히 의미심장한 말, 현명하게 압축된 문구, 또는 설명을 필요로 하는 말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이 단어는|(a) '속담, 잠언, 이야기, 우화',|(b) '찬양, 찬사' 라는 의미로 발전되었다.||#2. 70인역본의 용법||70인 역본에서 아이노스는 드물게 나오며(10여회), 2회는 할랄(찬양하다, 대하 23:13)의 역어로, 1회는 요즈(힘, 시 8:2)의 역어로, 그 외에는 히브리어 상당어 없이 나온다.||#3. 신약성경의 용법||신약성경에서 아이노스는 단지 눅 18:43과 마 21:16, 즉 70인역에서 힘이란 뜻의 히브리어 요즈를 이상하게 아이노스로 번역한 시 8:2[3]을 인용한 구절들에서만 발견된다. 아마도 70인 역본의 역자들이 어린아이들의 힘을 어린아이들의 압도적인 찬양으로 예견한 것이다. 70인역본에서 아이노스의 용법은 엄밀하게 일관되어진 것을 볼 수 있는데, 동사와 명사 모두 단지 하나님에 대한 찬미로만 사용되었다.
애논
Aijnwvn
애논 Aenon(지)||고유 명사 아이논은 '애논'(Aenon)으로 음역했으며, '샘 근원'을 뜻하며, 요한이 세례(침례)를 베풀던 곳으로 요단강에서 서쪽으로 9마일이요 예루살렘에서 동북 6마일인데 지금도 그 근처에 샘물이 많다(요 3:23).|아마도 이곳은 와디 파라의 상류 근처인 나블루스(Nablus)의 북동쪽에 있는 아이눈(Ainun)과 동일시된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F. F. Bruce).
가리다
aiJrevomai
선택하다 choose.||#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동사 하이레오마이(능동태)는 일반 헬라어 문헌에서 호머 이래로 발견되며, `취하다, 잡다, 붙잡다, 획득하다, 이해하다, 선택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하이레오마이는 중간태이며, 흔히 사용되었다.||#2. 70인역본의 용법||70인역본에서 하이레오마이는 11회 나오며, 그 중에서 바하르(택하다, 차라리 …을 취하다)의 역어로 4회(예: 삼하 15:15; 렘 8:3), 그 밖에는 특히 하페츠(기뻐하다)의 역어로 사용되었다(삼상 19:1).||#3. 신약성경의 용법||하이레오마이는 신약성경에서 항상 중간태로 3회만 나온다.|빌 1:22과 히 11:25에서 이 단어는 두 가능성 사이에서 더 좋아하는 것을 나타낸다.|살후 2:13에서 이 단어는 일반 헬라어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특수화된 성경적 의미, 곧 `어떤 사람을 어떤 것을 위해 선택하다'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공동체에 대한 하나님의 선택을 나타내고 있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당파
ai{resi"
종파 sect, 학파 school, 당파 party, 그룹 group.||#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하이레시스(Aesch., Hdt.)는 하이레오마이($138 참조)에서 유래했으며,|(a) 붙잡기, 취함, 획득, 정복;|(b) 선택, 선택의 기회;|(c) 열망, ∼에 대한 욕구, 경향, 좋아함;|(d) 목적이 있는 결정 또는 결심. 따라서 이 단어는 항상 동작과 결정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후기 고전 작가들. 특히 헬레니즘 시대의 헬라어에 있어서 하이레시스는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단어는 여기서 객관화된 의미를 가지는데 사람이 자신의 선택으로 말미암아 관계를 가지는 특별한 철학자의 교훈 또는 학파를 의미한다. 스승이라는 권위 있는 인물 주위에 모여든 철학파는, 추종자들이 찬동하는 교리(dogma)에 의해, 또한 그들의 생활 방식을 지배하는 일면의 공동적 규율에 의해 규정되었다.||#2. 70인역본의 용법||하이레시스는 70인역본에서 5회 사용중 레 22:18에서만 히브리어 상당어 네바다(낙헌제)의 역어로 나타난다. 엑스 하이레세오스(ex haireseos)라는 문구에서는 이 단어가 '선택'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고(창 49:5) 카타 하이레신(kata hairesin)이라는 문구는 '자유로 선택하여'를 뜻한다(레 22:18, 레 22:21).|필로와 특히 요세푸스의 저서들은 이 명사들의 특별한 발전 의미를 전해준다. 하이레시스는 헬라 철학파에 기초를 둔 유대주의 내의 모든 종교 집단들, 곧 에세네파(Essenes), 사두개파, 바리새파들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랍비 유대주의에서의 히브리 동의어는 민(min)이다. 그러나 민(min)은 어떤 종파 그 자체를 나타낸다기 보다는 종파(hairetikos)의 구성원을 나타낸다. 이 점에서 이 단어의 의미에는 결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처음에 이 단어는 상당히 일반적으로 유대교 내의 파벌들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나 점점 나쁜 의미로 이단 종파를 지칭하는 단어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주후 100년 경에 있었던 이 변화로 인해 마침내 주후 2세기 말에는 민(min)이 더 이상 유대 사회 내의 집단들을 구별하는 데에 사용되지 않고 다른 믿음을 가진 사람들, 예를 들어 기독교인들이나 영지주의자들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된 것이다. 이들은 이 믿음의 공동체밖에 위치하였고 따라서 완전히 구원의 영역 밖의 자들이었다.|(참조: Schlier, TDNT; L.Coenen, DNTT).||#3. 신약성경의 용법||명사 하이레시스는 신약성경에서 9회 나오며,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a) 사도행전에서 하이레시스는 유대 공동 사회 내의 집단들로서의 바리새파와 사두개파를 지칭한다. 사두개인의 당파(행 5:17), 바리새인의 당파(행 15:5; 행 26:5).|유대인의 이러한 관점에서 기독교인들도 하나의 하이레시스에 속한 것으로 묘사되었다: 나사렛 이단의 괴수(행 24:5; 참조: 행 24:14; 행 28:22).||(b) 하이레시스의 일반적인 특징 때문에 그리스도의 에클레시아(교회)는 하이레시스로 간주되는 것에 불만족했다. 모든 기독자들은 교회, 곧 "하나님의 전 백성의 합법적 공공 총회"(H.Schlier, TDNT Ⅰ183)에 속한다. 반면에 하이레시스(hairesis)는 하나의 학파 또는 당파라는 사사롭고 독단적인 특성을 암시한다. 그러므로 최초에 기독교 자체내에서 하이레시스에 대한 회의가 있었다. 이것은 정통(orthodoxy)의 발전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엑클레시아와 하이레시스가 기본적으로 양립할 수 없음으로 말미암은 것이었다.||갈 5:20에서 하이레시스는 "육체의 일들" 중의 하나로 연결된다. 이에 대한 사유는 고린도전서에 나온다. 고전 11:18이하에 의하면 하이레시스가 교회를 분열시키거나 여러 당파로 쪼개는 목적을 가진다(참조: 고전 1:10이하; 고전 12:27).|고린도전서에서 하이레세이스(haireseis)와 스키스마타(schismata)가 구별되었다. 스키스마타가 "사적인 동기에서 유발된 분쟁에 의한 교회의 분열"(H.Schlier, ibid)을 의미하는 반면 하이레세이스는 이 분열에 종말론적 국면을 추가한 것이다. "하이레세이스는 스키스마타의 결과들이다"(H.Lietzmann, IKor., HNT, 56).||(c) 하이레시스는 교회의 바로 그 기초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민간에 또한 거짓 선지자들이 일어났었나니 이와 같이 너희 중에도 거짓 선생들이 있으리라 저희는 멸망케 할 이단을 가만히 끌어들여 자기들을 사신 주를 부인하고 임박한 멸망을 스스로 취하는 자들이라"(벧후 2:1).|하나의 하이레시스는 엑클레시아와 나란히 하나의 새로운 사회를 생성시켜서 엑클레시아 자체를 전체 하나님의 백성이 아닌 하나의 하이레시스로 만들어 버린다. 이러한 것은 용납될 수 없다. 파멸을 초래하는 하이레시스는 그리스도를 부인하는 거짓 교사들(프슈도디다스칼로이)의 활동으로 말미암아 초래되는 것이다.(참조: 벧후 2:1).||(d) 초대 교회에서 하이레시스는, 종말론적 관점의 엑클레시아에 반대되는 집단을 뜻하는 전문 술어가 되었다. 이것은 특히 이그나티우스(Ignatius)와 저스틴(Justin)에 있어서 그러하다. 그러나 오리겐(Origen)은 하이레시스의 과거 의미로 돌아가 기독교 내의 다양한 학파들을 언급하는 데 사용한다(Contra Celsum).|(참조: Walter Bauer; H.Schlier).
하이레티조
aiJretivzw
선택하다 choose.||#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동사 하이레티조(히포크라데스 이래)는 `선택하다'를 의미하며, 하이레오마이의 강의형이다.||#2. 70인역본의 용법||하이레티조는 70인역본에서 약 26회나오며, 7개의 히브리 상당어로 번역되었는데, 주로 바하르의 역어로 사용되었다(14회). 이 동사는 하나님의 선택 행위를 나타내기 위하여 종종 에클레고($1586)와 함께 사용된다(참조: 대상 28:4, 대상 28:6, 대상 28:10; 시 25:12; 시 119:30). 몇몇 예문들에는(학 2:23; 말 3:17) `채용'이라는 의미로 나온다.||#3. 신약성경의 용법||하이레티조는 신약성경에서 마 12:18에 한번 나온다: "보라 나의 택한 종 곧 내 마음에 기뻐하는 바 나의 사랑하는 자로다 내가 내 성령을 줄 터이니 그가 심판을 이방에 알게 하리라". 이 구절은 사 42:1의 인용으로서, 유도케인(기뻐하다)의 대구로 쓰며, "택하다"를 의미하였다(그러나 마태복음은 70인역본을 따르고 있지 않고 다른 번역을 따르고 있다).|(참조: Wlater Bauer; L.Coenen, DNTT).
이단에 속한
aiJretikov"
당파적인 factious, 이단적인 heretic.||형용사 하이레티코스는 헬라어 문헌에서 명사로 사용되었으며 '바르게 선택할 수 있는 자'를 의미한다(ps. -plat. Def., 412a). 이 단어는 70인역본과 요세푸스에서도 나타나지 않는다.|그러나 기독교에서 이 단어는 맨 처음부터 전문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하이레시스(이단자)의 지지자들(신봉자들)을 의미한다.|딛 3:10에서 이단자들을 경계함에 있어서 마 18:15이하와 요이 1:10을 따르는 교회의 절차를 따른다.|(참조: Walter Bauer; L.Coenen).
가져가다
ai[rw
들어올리다, 빼앗아가다.||#1. 고전 헬라어 및 70인역본의 용법.||동사 아이로(Homer 이래)는,||(a) '땅에서 들어올리다'(Test. Sol., 23, 3. McCown, 69).||(b) '운반하기 위해 들어올리다'(70인역본, 창 40:16; 45:23 등).||(c) '빼앗아 (채어) 가다'(70인역본, 창 35:2; 44:1 등; P. TebT., Ⅱ, 417).|70인역본, 삼상 15:25과 25:28에서는 '사면, 용서'를 의미한다.||#2. 신약성경의 용법.||동사 아이로는 신약성경에서 100회 나오며,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a) 아이로는 '들어올리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이 의미로, 맹세할 때 손을 드는 것(계 10:5), 기도할 때 얼굴을 드는 것(요 11:41), 기도시 목소리를 높이는 것(행 4:24; 참조: 삿 21:2)에 대해 사용되었다.||(b) 아이로는 '취하여 나르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마 11:29에서 아이로는 토라의 멍에와 대조되는 예수 안에서 계시된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것을 의미한다(행 15:10; 갈 5:1). 십자가를 메는 것은 자기를 부인하고(심지어 순교까지도) 예수님을 따를 각오를 나타낸다(막 8:34).||(c) 아이로는 '빼앗아가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행 8:33; 요 17:15에서는 죽음에 대해, 마 21:43에서는 구원의 박탈에 대해, 눅 11:52에서는 지식을 가져가 버리는 것에 대해, 행 8:33에서는 공정한 재판을 받지 못함에 대해, 골 2:14에서는 십자가로 말미암아 죄를 제거하는 것에 대해, 요일 3:5에서는 속죄에 대해 사용되었다.|요 1:29에 나오는 이 단어가 "지고 가다", 즉 형벌을 대신하여 지는 것을 의미하는지, 아니면 "다 빼앗아 가다", 즉 속죄에 의한 형벌의 제거를 의미하는지는 오랫동안 논란이 되고 있다. 만약 이것이 하나님의 종에 대해 언급하는 것이라면 전자가 보다 적절한 의미이겠지만, (형벌을 담당하는 것, 곧 "많은 사람의 죄를 지며", 사 53:12; 참조: 사 53: 4, 6, 11) 하나님의 어린양을 언급한 것이라면 후자가 더 옳은 의미이다. 즉, "세상 죄를 제거하다"(그의 피의 속죄하는 능력에 의해; 참조: 요일 1:7).|(참조: J. Jeremias, TDNT).
깨닫다
aijsqavnomai
지각하다, 이해하다.||#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동사 아이스다노마이(Aeschyl. 이래)는 아이오(%544: 이해하다)에서 유래했으며, '지각하다, 이해하다'를 의미하며, 세개의 중요한 의미,||(a) 감각적 지각,|(b) 일반적인 지각(통찰), 특별히 영적 지각(통찰),|(c) 지적 이해를 뜻하는데 사용되었다.||#2. 70인역본의 용법.||동사 아이스다노마이는 70인역본에서 13회 나오며, 욥 23:5에서 빈을 번역하여 '깨닫다', 잠 24:14; 사 49:26에서 야다를 번역하여 '알다'를 나타낸다.||#3. 신약성경의 용법.||동사 아이스다노마이는 신약성경에서 눅 9:45에만 나타난다. 여기서는 분명히 '지적 이해'이라는 의미에서 '이해하다'를 의미한다. 제자들은 예수님의 수난에 대한 예언을 내적으로 이해하지 못한다.|(Bultmann, TDNT).
총명
ai[sqhsi"
지각, 이해.||#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아이스데시스는 아이스데테리온($145)에서 유래했으며, 동사와 유사한 패턴으로 그 의미가 발전된 것을 보여준다. 이 단어는 가장 일반적으로,||(a) '감각'(sence)에서 '감각 기관'을 뜻하며,||(b) 영혼의 수용 능력, 곧 분별, 명상, 선한 것을 향유하는 등의 능력을 뜻하며, 판단(욕망의 무가치함에 대한 판단, Epict)을 의미한다.||(c) 필로에 있어서 아이스데시스는 '감각적 지각'이라는 의미가 지배적이며, 도덕적인 자각의 색채를 띤 의식(consciousness)일 수 있다(Som. Ⅱ. 292).|필로에 있어서 이것은 때때로 누스($3563)와 종교적인 깨달음과 반대된다. 그러나 그는 또한 행동에 있어서 누스($3563)는 올바른 아이스데시스에 좌우된다고 말하였다.||#2. 70인역본의 용법.||명사 아이스데시스는 70인역본에서 약 28회 나온다. 아이스데시스는 주로 지혜 문학에서 사용되었으며, 특히 참된 통찰력이란 의미를 지닌 다아트(지식, 지혜)의 역어로 나온다(25회 사용중, 20회). 이 단어는 종종 윤리적인 판단이나 결정하는데 작용하는 판단, 이해(참조: 잠 17:10; 사 49:26; 사 33:11)까지 포함하기도 한다. 이런 통찰력은 미숙(잠 1:4), 절제, 부족(잠 12:1) 그리고 어리석음(잠 15:7)과 대조된다. 아버지는 이런 지혜가 하나님에 대한 참 지식을 가져오므로(잠 2:4 이하) "지식을 불러 구하라"(잠 2:3)고 자기 아들에게 말한다. 이 두가지는 동일한 것이므로 역으로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다"(잠 1:7). 하나님에 대한 경험과 세상에 대한 경험은 불가분리적으로 서로 속해 있다.||#3. 신약성경의 용법.||명사 아이스데시스는 신약성경에서 빌 1:9에서만 나타난다: "내가 기도하노라 너희 사랑을 지식과 모든 총명으로 점점 더 풍성하게 하사".|바울은 인지(통찰; 아이스데시스)와 지식(그노시스)을 사랑의 표현과 기능에 대한 한 쌍으로 병행시키고 있다. 지식은 주로 하나님께 대한 것이다. 참된 통찰력은 인간 관계에 있어 필수적인 것이다. 왜냐하면 인간 관계에서는 참된 통찰력을 가지고 선과 악을 구별하고 그에 알맞게 판단해야 하기 때문이다(참조: 특히 10절).|(참조: G. Delling, TDNT; E. Schutz, DNTT).
아이스데테리온
aijsqhthvrion
지각 perception.||#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아이스데테리온(Hippocr. 이래)은 아이스다노마이($143)에서 유래했으며, '감각 기관'(필로)을 의미한다.||#2. 70인역본의 용법.||명사 아이스데테리온은 70인역본에서 2회 나오며, 렘 4:19에서 히브리어 키르(벽 wall, 면 side)를 번역(개역, 마음 '속')한다. 외경 마카베오사서 2:22에서는 감각 기관을 표현한다.||#3. 신약성경의 용법.||명사 아이스데테리온은 신약성경에서 히브리서에 한번 나온다.|히 5:14에 아이스테리아(복수)는 연단을 받아 선악을 분별하는 기관을 의미한다. 이러한 발달된 기관 없이는 바울의 유대교 대적자처럼 칭의의 말씀을 이해할 수 없다(히 5:13). 이것은 실제로 개발되어야 하는 영적 은사이다.|(참조: G. Delling, TDNT; E. Schutz, DN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