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공정무역협 결성 잇달아
지역별 공정무역협 결성 잇달아
  • 양진우 기자
  • 승인 2025.03.23 16:26
  • 댓글 0

4월 26일에 경기도공정무역협 준비위 발족
하남공정무역협의회 총회, 지역 홍보 박차
국내서 가장 활발하게 확산해나가고 있는 하남공정무역협의회가 일곱번째 정기총회를 개회했다.
국내서 가장 활발하게 확산해나가고 있는 하남공정무역협의회가 일곱번째 정기총회를 개회했다.

경기도공정무역마을협의회(상임대표 최혜연)는 오는 327일 오전 1030분에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상동 463-2, 4층 소재 부천시사회적경제센터에서 제1차 정기총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들은 지난해 92일에 경기도 공정무역 지역 협의회 대표자 회의를 가졌고, 같은 해 1011일에 경기도공정무역마을협의회를 창립해 이번 첫 총회를 가진 것. 이를 기반으로 오는 426일에 경기도공정무역협의회 준비위원회를 발족키로 했다.

이에 앞서 하남공정무역협의회(회장 김부성·하남YMCA 전 이사장)는 지난 318, 하남평생교육원에서 제7차 정기총회를 갖고 지난 회기 결산 및 새 회기 예산 및 사업계획을 수립했다. 또한 지역사회와 저개발국가 생산자들에게 힘이 될 수 있는 새 사업을 펼쳐 나가기로 다짐했다

이날 1년간의 영상 보기, 내빈 소개, 대표 인사말, 내빈 축사, 성원 보고 및 개회선언, 의사록 작성 및 서명날인, 전차 회의록 보고, 감사보고, 2024년 사업보고 및 결산 보고, 2025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기타안건 후 폐회했다.

2025 사업목표는 하남의 공정무역운동이 지속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마을 환경을 만든다 공정무역은 기후위기의 구체적 해결책이기도 하며 기후정의의 문제임을 인식한다 하남시, 기관, 기업, 판매처, 단체 등을 통해 공정무역마을 인증 및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설정했다.

또한 2025 사업방향은 기후위기와 양극화로 더욱 어려워진 저개발국생산자 로컬 페어트레이드 제품 및 판매처의 활동이 지속될 수 있도록 연대를 강화한다 하남시가 공정무역도시 재인증에 실패하여 앞으로 다시금 공정무역도시 인증을 받기위한 기반조성 및 활성화를 위해 노력한다 하남의 공정마을여행 코스가 더 알려지고 활용되어 하남에 대한 관심과 마을 사람들의 배려와 경제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한다 공정무역활동가가 역량강화 교육을 통해서 우리 스스로 자생력을 갖출 수 있는 기회로 삼아 공정무역도시가 되도록 노력한다 미디어 컨텐츠 개발 등 SNS를 강화하여 더 넓은 온라인 영역으로 활동력을 높이는 것으로 잡았다.

2025 핵심사업 내용은 SNS 미디어를 활용하여 활동력을 높이고 역량 강화한다 공정무역 회원의 역량강화를 위한 명사특강(토크콘서트)를 년2회 상반기, 하반기에 진행한다 찾아가는 공정여행, 공정무역 제품 판매처 순회 방문을 통해서 공감대를 확산시켜간다 공정무역행사 기념일, 지역행사를 통한 연대를 강화하고 정기적인 홍보활동을 진행한다 공정무역 소모임을 통해서 지속적이고 다양하게 운영한다 판매처, 협약처, 지역연대, 국제연대 등 네트워크 강화에 힘쓴다 공정무역 아카데미를 통해 지역주민과 청소년 교육을 강화한다 공정무역 활동의 언론보도 및 홍보를 강화한다 공정무역 티파티와 푸드테라피로 힐링이 되는 만남 갖는다 장애인, 수어통역을 통한 공정무역 확산에 노력하는 것으로 소개됐다.

홍미라 전 회장(왼쪽)과 김부성 현 회장이 '계승'과 '혁신'을 다짐했다.
홍미라 전 회장(왼쪽)과 김부성 현 회장이 '계승'과 '혁신'을 다짐했다.

공정무역(Fair Trade)’은 공평하고 정의로운 관계를 추구하는 상호무역 체계이다. 이는 소외된 저개발국가의 생산자와 노동자에게 더 나은 거래조건을 제공해 최소한의 권리를 보호하는 운동이다. 이에 따라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 공정무역과 관련된 사업을 기반으로 공정무역을 올바르게 알리고 실천하기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들이 거래하는 공정무역제품은 공정무역 인증기구의 인증을 받은 제품들이다. 또한 공정무역단체가 개발하거나 유통하는 제품 등을 거래한다. 또 지역 생산을 의미하는 로컬페어트레이드제품은 공정무역의 정의와 원칙에 따라 자국과 인접국가의 소외된 생산자와 노동자들이 생산, 가공, 유통하는 제품을 의미한다. 공정무역마을운동은 전 세계적인 공정무역 커뮤니티 운동으로서, 광역·기초지방자치단체 및 지역 내 다양한 공동체인 대학, 학교, 기업 및 기관, 종교단체 등을 기반으로 공정무역에 대한 인식을 확산하고, 윤리적 소비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지역에서 활발한 홍보 활동이 절실하다.

이들 바닥공동체들은 매년 5월 둘째주 토요일에 세계 공정무역의 날에 연대하면서 대대적으로 홍보를 한다.

친환경 좋은 제품을 공정한 가격에 거래함으로써 빈곤을 이겨내게 하는 동 운동이 성공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 본사/임원실/총무과/편집위원실 :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951 (갈현동 1-25)
  • 편집국 제2취재기자실/디지털영상미디어팀 본부 : 서울중랑구 면목로 44길 28 아람플러스리빙
  • 편집국 취재기자실/석좌기자실 :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양로52길 15-4
  • 이사회실/기획취재연구실/논설위원실 : 경기 고양시 덕양구 용현로 64
  • 사업부실 : 서울 금천구 시흥동 1010번지 벽산APT 113동 1109호
  • 편집국 : 02-429-3481
  • 광고국 : 02-429-3483
  • 팩스 : 02-429-3482
  • 이사장 : 민찬기
  • 회장 : 이상대
  • 발행인 : 양진우
  • 편집인 : 최영신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인재
  • 인쇄인 : 이병동
  • 법인명 : C헤럴드(CHERALD)
  • 제호 : 최고지성인교계기자집단 C헤럴드(CHERALD)
  • 등록번호 : 서울 아 52117
  • 지면신문 등록번호 : 서울 다 50572
  • 등록일 : 2019-01-27
  • 발행일 : 2019-02-11
  • 광고비 : 국민은행 018501-00-003452 시헤럴드(CHERALD)
  • 후원·구독료 : 국민은행 018501-00-003465 시헤럴드(CHERALD)
  • 최고지성인교계기자집단 C헤럴드(CHERALD)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최고지성인교계기자집단 C헤럴드(CHERALD).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ublisher@c-herald.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