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해설 1 페이지 > 기독정보닷컴

홈 > 성경 > 원어해설
원어해설
선을 행하는 가운데
ajgaqopoii?a
선을 행함 doing good.||#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아가도포이이아(Ptolem., Apoterl.)는 아가도포이오스($17: 올바르게 행하는)에서 유래했으며, '올바른 행실, 선행, 덕행'을 의미한다. 70인역본에는 이 단어가 나오지 않는다.||#2. 신약성경의 용법||아가도포이이아는 벧전 4:19에서만 나타난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뜻대로 고난을 받는 자들은 또한 [선을 행하는] 가운데 그 영혼을 미쁘신 조물주께 부탁할지어다". 아가도포이이아는 여기에서 마지막 때의 구원을 대비하여 가능한 합당한 준비를 갖추는 '올바른 행위'나 '의로운 행위'를 가리킨다.|(참조: J.H.Thayer; Walter Bauer; E.Beyreuther).
선행하는 자
ajgaqopoiov"
선을 행하는, 선을 행하는 자.||#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형용사 아가도포이오스는 아가도스($18: 선한)와 포이에오($4160: 행하다)에서 유래했으며, '선을 행하는, 올바르게 행하는, 잘(행)하는'을 뜻하며(Plut.), '선행을 하는 자'에 대하여 사용된다.||#2. 70인역본의 용법||아가도포이오스는 70인역본에서 집회서 42:12에 한번 나오며 여자의 '친절'에 대해 사용되었다.||#3. 신약성경의 용법||아가도포이오스는 신약성경에서 벧전 2:14에 한번 나타난다: "혹은 악행하는 자를 징벌하고 [선행하는 자]를 포장하기 위하여 그의 보낸 방백에게 하라". 여기에서 그것은 카코포이오스($2555: 악행하는 자)와 함께, 그들의 그리스도인으로서가 아니라 그들의 윤리적 자질로 구별한 서로 다른 두 부류를 지적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여기서 선을 행하는 자는 관원으로부터 칭찬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저자의 관점은 기독교인들은 아가도포이오이(선행하는 자들)에 속한다는 것이다.|(참조: Walter Bauer; W.Grundmann; E.Beyreuther).
알지 못하는
ajgnwsiva
지식의 부족 lack of knowledge.||#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아그노시아(Eur., Thu. 이래)는 부정접두사 %107와 그노시스($1108)에서 유래했으며, '지식의 결여', '무지'를 의미한다.||#2. 70인역본의 용법.||명사 아그노시아는 70인역본에서 3회 나오며, 베라다아트를 번역하여 '지식이 없는'(욥 35:16)을 나타내며, 외경에서도 이런 의미로 사용되었다(지혜서 13:1; 마카베오삼서 5:27).||#3. 신약성경의 용법.||명사 아그노시아는 신약성경에서 2회 나온다. 이 단어는 아그노이아($52)보다 더 강한 말로서 '지식의 결핍'만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 그것은 진리를 배우거나 받아들이기를 싫어하는 고집을 가리키기도 한다.||(a) 벧전 2:15에서 이런 의미로 사용되었다: "곧 선행으로 어리석은 사람들의 무식한 말을 막으시는 것이라".(A. M. Stibbs)||(b) 고전 15:34에서 아그노시아는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없는 것을 나타낸다: "깨어 의를 행하고 죄를 짓지 말라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자가 있기로 내가 너희를 부끄럽게 하기 위하여 말하노라".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부족하거나 없는 것은 해가 없는 공백 상태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비참한 결과로 이끌어 간다. 가데르는 '그것은 하나의 선한 일에 대한 결핍이나 부족일 뿐만 아니라 하나의 참된 악을 소유하는 것이 되는 것이다. 그것은 허탈을 수반할 뿐만 아니라 독소를 포함하는 것이다'고 주석했다.|(참조: J. H. Thayer; Walter Bauer).
못하는
ajduvnato"
할 수 없는 unable.||#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형용사 아뒤나토스(Epicharmus, Hdt. 이래)는 부정 접두사 %107와 뒤나토스($1415)에서 유래했으며, 뒤나토스의 반대어이다. 이 단어는||(a) 형용사로 '무력한, 힘이나 능력이 없는', 실명사로는 그러한 자를 의미한다.||(b) 수동태에서 '불가능한', 실명사로는 '불가능함'이나 '불가능한 것'을 의미한다.||#2. 70인역본의 용법.||형용사 아뒤나토스는 70인역본에서 약 26회 나오며, 히브리어 에비욘(가난한, 무력한, 욥 5:15; 욥 24:4; 욥 29:16), 달(가난한, 약한, 낮은, 욥 5:16; 욥 20:19; 욥 31:16), 카셰욤(어려운, 고생의 날, 욥 30:25), 아니(가난한, 비천한, 욥 36:15) 등의 역어로 사용되었으며, 그런 의미를 나타낸다.||#3. 신약성경의 용법.||형용사 아뒤나토스는 신약성경에서 10회 사용 중 공관복음서에 각각 한번씩, 사도행전에 한번, 바울 서신에 2회, 히브리서에 4회 나온다. 이 단어는 형용사로 7회, 명사로 3회 사용되었다(눅 18:27; 롬 8:3; 롬 15:1). 능동태로 사용될 때에는 '할 수 없는'을 의미하고 수동태로 사용될 때는 '불가능한'을 의미한다.||(a) 행 14:8에서 아뒤나토스는 앉은뱅이의 두 발이 '무기력한 것'을 나타낸다.|"누가 구원받을 수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에서 예수님께서는 비록 인간은 엄청난 노력으로도 그것을 얻을 수 없으나 하나님의 창조적인 은혜는 불가능을 가능하게 한다고 하신다(막 10:27; 마 19:26; 눅 18:27).||(b) 롬 8:3에서 율법은 죄를 깨뜨릴 '힘을 가지고 있지 않다'. 유대인의 견해에 따르면 대조적으로 토라의 말씀은 "너를 치료하고", "너에게 생명을 주는 것"(Mek, 출 15:26)이라고 한다. 하나님의 구원하시는 능력이 율법의 약함에 대항하여 선다(참조: 롬 1:16).||(c) 롬 8:3에서 율법에 대해 말하는 것은 특히 히 10:4의 희생제사에 적용된다. 그것들이 "죄를 없이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제의적인 희생제사의 계속되는 반복은 그것의 무력함을 보여준다(히 10:11). 구원에 대한 하나님의 계획에 따라서 믿음이 없이는 아무도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지 못한다.||(d ) 히 6:4이하에서 배교의 경우에 그가 제공되어진 구원에 이미 참여하였을 때에는 회개의 반복이 불가능하다.||(e) 하나님의 능력은 자주 인간의 무력함과 대조되어 강조된다. 하나님께서 하실 수 없는 단 한 가지가 있다. 즉 거짓말이다(히 6:18; 참조: 신 23:19; 딛 1:2). 롬 15:1에서 아두나토스는 어떤 그리스도인들에 대하여 사용되었다: "우리 강한 자가 마땅히 연약한 자의 약점을 담당하고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아니할 것이라". 그들은 금욕적으로 고기와 포도주를 부정하기 때문에 피한다(참조: 롬 14:2; 롬 14:14; 롬 14:21). 그리고 일정한 날들을 지킨다(5절). 그들은 다른 자들을 비난해서는 안되며(3절 이하, 10절) "강한 자들"도 그들을 멸시하면 안된다. 그들에 대하여 정죄를 강요해서도 안되며 그들에게 내적인 갈등을 일으켜서 그들이 멸망하도록 해서도 안된다(3절이하, 13, 15, 21절). 오히려 "강한 자"들은 그들을 참아야 한다(참조: 롬 15:1). 그들 모두 같은 주를 섬기므로(참조: 롬 14:8이하) 두 무리들은 모두 서로 한 마음이어야 한다(참조: 롬 15:5).|(참조: Walter Bauer; W. Grundmann; J. H. Thayer; G. Friedrich).
더러운 이를 탐하는
aijscrokerdhv"
부정한 이득을 좋아하는||#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형용사 아이스크로케르데스(Eur., Hdt. 이래)는 아이스크로스($150)와 케르도스($2771)에서 유래했으며, '부정한(혹은 더러운) 이득을 좋아하는, 돈을 탐하는'을 의미한다.|70인역본에서 나타나지 않는다.||#2. 신약성경의 용법.||형용사 아이스크로케르데스는 신약성경에서 3회 목회 서신에만 나온다.|딤전 3:3, "술을 즐기지 아니하며 구타하지 아니하며 오직 관용하며 다투지 아니하며 돈을 사랑치 아니하며".|딤전 3:8, "이와 같이 집사들도 단정하고 일구 이언을 하지 아니하고 술에 인박이지 아니하고 더러운 이를 탐하지 아니하고".|딛 1:7, "감독은 하나님의 청지기로서 책망할 것이 없고 제 고집대로 하지 아니하며 급히 분내지 아니하며 술을 즐기지 아니하며 구타하지 아니하며 더러운 이를 탐하지 아니하며".|(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구하는 바
ai[thma
요청, 요구.||#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아이테마(Pla. 이래)는 아이테오($154, 요구하다, 요청하다)에서 유래했으며,||(a) '요구'(demand), 폭군의 요구에 대해 사용되었다(Plutarch, Demetr. 3).||(b) '요청'(request), '간구'(petition), '욕구'(desire)를 의미한다(Aristot. Rhet. Al, 20p; P. Flor., 296, 16).||#2. 70인역본의 용법.||명사 아이테마는 70인역본에서 16회 나오며, 주로 '요구, 요청'을 뜻하는 셰엘라와 셸라의 역어로(11회)로 사용되었다(예: 삿 8:24; 삼상 1:17; 삼상 1:27; 시 106:15 등).||#3. 신약성경의 용법.||명사 아이테마는 신약성경에서 3회 나온다.|눅 23:24에서 세속적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에 빌라도가 저희의 구하는대로 하기를 언도하고". 종교적 의미에서 그것은 특별히 기도를 구성하는 개개의 요청들에 대하여 사용되었다. 데에시스($1162: 간구, 간청)와는 달리 아이테마는 요청의 내용을 지적한다.|빌 4:6; 요일 5:15에서도 같은 의미를 사용되었다.|빌 4:6, "아무 것도 염려하지 말고 오직 모든 일에 기도와 간구로, 너희 구할 것을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아뢰라".|요일 5:15, "우리가 무엇이든지 구하는 바를 들으시는 줄을 안즉 우리가 그에게 구한 그것을 얻은 줄을 또한 아느니라".|(참조: G. Stahlin, TDNT; H. Sch?nweiss, DNTT).
결실치 못하는
a[karpo"
열매를 맺지 않는, 결실이 없는.||#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형용사 아칼포스는 %107(부정접두사)와 칼포스($2590: 열매)에서 유래했으며, Aeschylus(BC.525-456) 이래로 사용되었고, '열매 없는, 열매 맺지 못하는'을 의미한다.||#2. 70인역본의 용법||형용사 아칼포스는 70인역본에서 3회 나오며, '열매를 맺지 않는'(참조: 렘 2:6)을 의미한다.||#3. 신약성경의 용법||형용사 아칼포스는 신약성경에서 7회 나오며, 다음과 같이 사용되었다.||(a) 유 1:12에서 한번 아칼포스는 문자적 의미로 사용되었다: "저희는 기탄 없이 너희와 함께 먹으니 너희 애찬의 암초요 자기 몸만 기르는 목자요 바람에 불려가는 물 없는 구름이요 죽고 또 죽어 뿌리까지 뽑힌 열매 없는 가을 나무요". 여기서 거짓 선지자들을 열매가 없는 나무에 비유하고 있다.||(b) 그밖에 아칼포스는 모두 비유적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리스도인의 열매는 하나님과 그리스도에게 대한 그들의 헌신으로 생활의 의를 나타내는 것이며, 마지막 심판 때에 그를 용납하는 전제 조건이다. 여기서 의는 열매 맺는 것이다. 따라서 그리스도인들은 심판시에 열매 없는 자가 되어서는 안된다(딛 3:14; 벧후 1:8). 악행은 열매를 맺지 못한다. 왜냐하면 악행은 구원을 가져오지 못하기 때문이다(엡 5:11). 방언을 말할 때 누스(마음)는 열매를 맺지 못한다(고전 14:14). 이 단어는 가시떨기 가운데 떨어졌을 때 열매를 맺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마 13:22).|(참조: Walter Bauer; J.H.Thayer; F.Hauck).
쉬지 아니하는
ajkatavsceto"
제어할 수 없는.||형용사 아카타스케토스(Hipparch., Diod., Plut. 등)는 부정 접두사 %107와 카테코(%474: 제지하다, 통제하다)에서 유래했으며, '제어할 수 없는'을 의미한다. 공인본문(RT) 약 3:8.|(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금하는 사람이 없었더라
ajkwluvtw"
방해 없이, 자유로이.||#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부사 아콜뤼토스(Pla. 이래)는 부정 접두사 아(%107)와 콜뤼오($2967)에서 유래했으며, '방해 없이, 자유로이'를 의미한다(Plato, Epict., Hdian).||#2. 신약성경의 용법.||부사 아콜뤼토스는 신약성경에서 행 28:31에만 나온다: "담대히 하나님 나라를 전파하며 주 예수 그리스도께 관한 것을 가르치되 금하는 사람이 없었더라". 바울은 방해를 받지 않고 아주 자유롭게 복음을 전한 것이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자긍하는
ajlazwvn
허풍선이, 사기꾼.||#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a) 명사 알라존(Cratinus, Aristoph.이래)는 자기 자신을 실제 이상으로 평가하여, '자기가 가진 것보다 더 많고 더 좋은 것들을, 심지어 전혀 소유하지 않은 것도 가진 것으로 여기고 자기가 수행할 수 없는 것을 약속하는 자'(O. Ribbeck; Aristot, Eth. Nic.,Ⅳ).||(b) 따라서 알라존은 '떠돌이 협잡군', '떠돌이 허풍쟁이'로 관객의 사랑을 받는 희극의 등장 인물이었다(Cratinus, Eupolis, Aristophanes, Alkaios, Menander). 떠도는 사변론자에게도 역시 경멸하는 의미의 별명으로 '알라존'이라는 별명이 붙혀졌다.||(c) 알라존은 헤로도투스 이래로 형용사로 나타나는데, 트리키아 지방의 민속적 이름인 알라존(Alazon)에서 유래하였거나(Bonfante, Frisk) 아니면 '유랑하다'라는 뜻의 단어 알라조마이(%210)에서 유래하였을 것이다(Boisacq, Hofmann). 후대에 이 단어의 의미는 대개 '허풍선이' braggart, '자랑꾼' show-off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d) 매우 자주 웅변가(연설가), 현인이나 철인, 시인, 마술사, 의사, 요리사나 관원을 알라존으로 불렀다(참조: The Miles gloriosus of Plautus).||#2. 70인역본의 용법.||명사 알라존은 70인역본에서 3회 나오며, 욥 28:8에서 샤하츠(교만)의 역어로 사용되었다. 합 2:5에서 야히르(건방진, 오만한)의 역어로 사용되었다. 여기서 알라존은 하나님을 신용하지 않는 건방진 자이다.|잠 21:24에서 히브리어는 그 뜻이 불분명한데, 알라존으로 번역했다. 여기서 알라존은 아우다데스($829: 자기 만족의)와 관계되어 있다(참조: G. Delling; C. Brown).||#3. 신약성경의 용법.||명사 알라존은 신약성경에서 2회, 롬 1:30; 딤후 3:20의 목록에 나온다.|이 두 구절에서 모두 휘페레파노스($5244: 교만한, 거만한, 자랑하는)가 함께 사용되고 있다. 알라존은 엄청난 주장을 함으로 다른 이에게 자기의 인상을 심으려고 하는 자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단어는 허풍선이, 사기꾼, 협잡배, 사칭자 등에 대하여 사용된다. 여기에서 이 단어는, 이 단어가 의미할 수 있는 가장 넓은 범위까지를 염두에 두고 사용된 것 같다. 즉, 우리는 이 단어에서 '광적인 자만과 어리석은 말'과 같은 이교적 정신, 그리고 사 10:7-사 10:11에 반영된 그런 종류의 것, 아니 사람들이 남에게 자신의 인상을 남기고자 하거나 그리고 많은 경우에 자기 자신을 기만할 때 사용되는 모든 파렴치한 주장과 과시적 행동을 읽을 수 있다(C.E.B.Cranfield, Romans, ICC).|(참조: Walter Bauer; J.H.Thayer; E.Guting; C.Brown).
남의 일을 간섭하는 자
ajllotrioepivskopo"
다른 사람의 일에 참견하는 자||#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알로트리오에피스코포스는 알로트리오스($245)와 에피스코포스($1985)에서 유래했으며 '다른 사람의 일에 참견하는 자'를 의미한다.||#2. 신약성경의 용법.||명사 알로트리오에피스코포스는 벧전 4:15에 한번 나온다: "너희 중에 누구든지 살인이나 도적질이나 악행이나 남의 일을 간섭하는 자로 고난을 받지 말려니와".|이 단어가 신약성경 이외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므로, 우리는 그 의미를 문맥에서 추론해 보아야 한다. 이 문맥들은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가능성들을 허용해 준다.||(a) '다른 사람의 재산에 눈독을 들이는 자',|(b) '자기에게 위탁된 재물에 불충실한 청지기',|(c) '자기와 관계없는 일들에 참견하는 자',|(d) '중상자나 밀고자',|벧전 4:15에서 아마도 기자는 이방인들을 그리스도교의 기준에 순응시키기 위해서-공적이든 혹은 사적이든, 세속적이든 혹은 종교적이든지간에 경건하나 과도한 열성으로 이방인의 일에 관여하는 자를 말하는 것 같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H. W. Beyer).
시들지 아니하는
ajmaravntino"
시들지 않는.||#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형용사 아마란티노스는 아마란토스($263: 시들지 않는)에서 유래했으며, '아마란트 꽃으로 이루어진'을 의미한다. 이 꽃은 시들거나 마르는 일이 없기 때문에 그렇게 불리우는 꽃으로, 잡아 뜯었을 때 물로 축이면 되살아난다. 따라서 그것은 영원불멸의 상징이다(Paradise Lost).||#2. 신약성경의 용법.||형용사 아마란티노스는 신약성경에서 벧전 5:4에 한번 나온다: "그리하면 목자장이 나타나실 때에 시들지 아니하는 영광의 면류관을 얻으리라".|아마란티노스는 아마란트로 만들어진 것이며, 이것은 결코 시들지 않고 영원한 것으로 가상된 꽃이었다(A. M. Stibbs).|(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쇠하지 아니하는
ajmavranto"
쇠하지 않는.||#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형용사 아마란토스(Diosc. 4, 57 등)는 부정 접두사 %107와 마라이노($3133, 끄다, 쇠약해지다)에서 유래했으며, '시들지 않는, 쇠퇴하지 않는'을 의미한다.||#2. 70인역본의 용법.||형용사 아마란토스는 70인역본에서 외경 지혜서 6:12에 한번 나오며, 지혜가 '시들지 않는 것'에 대해 사용되었다.||#3. 신약성경의 용법.||형용사 아마란토스는 신약성경에서 벧전 1:4에 한번 나온다: "썩지 않고 더럽지 않고 쇠하지 아니하는 기업을 잇게 하시나니 곧 너희를 위하여 하늘에 간직하신 것이라".|소망의 내용, 즉 하늘의 기업은 지상의 모든 재물들과 달리 쇠하지 않는 것이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감당치 못하는
ajnavxio"
가치없는 unworthy.||#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형용사 아낙시오스(Soph., Hdt. 이래)는 부정 접두사 %107와 악시오스($514)에서 유래했으며, '적합하지 않는, 가치(자격) 없는'을 의미한다.||#2. 신약성경의 용법.||아낙시오스는 신약성경에서 고전 6:2에 한번 나온다: "성도가 세상을 판단할 것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 세상도 너희에게 판단을 받겠거든 지극히 작은 일 판단하기를 감당치 못하겠느냐". 여기서 아낙시오스는 판단할 '자격이 없는 것'을 나타낸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핑계치 못하는
ajnapolovghto"
변명할 수 없는 inexcusable.||#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형용사 아나폴로게토스(Polyb., Dionys., Plut.)는 부정 접두사 %107와 아폴로게오마이($626: 스스로 이야기하다, 스스로 변호하다)에서 유래했으며, '변명할 수 없는, 핑계할 수 없는'을 의미하며, 법에 항변하는 소송의 가망 없음을 나타내는 문맥에서 사용되었다.||#2. 신약성경의 용법.||형용사 아나폴로게토스는 신약성경에서 로마서에만 사용되었다.||(a) 롬 1:20에서 하나님을 아는 지식에 관하여 '변명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낸다: "창세로부터 그의 보이지 아니하는 것들 곧 그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이 그 만드신 만물에 분명히 보여 알게 되나니 그러므로 저희가 핑계치 못할찌니라".||(b) 롬 2:1에서 남을 판단하는 자에 관하여 '변명의 여지가 없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남을 판단하는 사람아 무론 누구든지 네가 핑계치 못할 것은 남을 판단하는 것으로 네가 너를 정죄함이니 판단하는 네가 같은 일을 행함이니라".|(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