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해설 1 페이지 > 기독정보닷컴

홈 > 성경 > 원어해설
원어해설
선한 일을 행하다
ajgaqoergevw
선을 행하다 do good||#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동사 아가도에르게오는 아가도스($18: 선한)와 에르곤($2041: 일)이나 에르가조마이(일하다)에서 유래했으며, '선을 행하다, 선행(자선)을 행하다'(가난한 자와 궁핍한 자에 대하여),즉 어떤 사람의 유익을 위하여 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 단어는 매우 드물게 나오는 단어로서, 70인역본과 요세푸스의 기록에는 나오지 않는다.||#2. 신약성경의 용법||아가도에르게오는 신약성경에서 딤전 6:18에만 한번 나온다: "선한 일을 행하고 선한 사업에 부하고 나눠 주기를 좋아하며 동정하는 자가 되게 하라". 여기서 부자에 대한 충고는 다른 사람들에 대한 사랑의 표출인 선행을 요구하고 있다.|행 14:17에서는 단축형 아가두르게오(%352)가 사용되었는데 하나님의 친절한(자비로운) 행동을 지적한다.|(참조: J.H.Thayer; W.Grundmann; E.Betreuther).
부정한 일
ajdivkhma
부정한 행위, 잘못된 행위.||#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아디케마는 아디케오($91: 잘못 행하다, 해하다)에서 유래했으며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완전한 부정(부당) 행위, 고의적인 부정(부당) 행위,(참조: Aristotle, Eth Nic. V.10),|⒝ 풍기문란한 무리들의 나쁜 짓과 같은 비행(Polyb., 1.66, 6과 8),|⒞ 대적자들의 압제(Philo Rer. Div. Her., 289),|⒟ 폭력행위(Vit. Mos., 1. 149), 아내에 대한 학대(Pap에서 BGU,Ⅳ. 1098, 22),|⒠ 사기와 횡령(Pap에서 P. Amh., Ⅱ. 33, 13)에 대해 사용되었다.|⒡ 파피루스(Pap)는 일반적으로 법에 대한 실제적인 위반을 지적한다.||#2. 70인역본의 용법.||명사 아디케마는 70인역본에서 드물게 나오며, 대부분 '율법의 위반'이나 '하나님에 대한 범죄 행위'를 의미한다(사 59:12; 렘 16:17; 겔 14:10). 이 단어는 습 3:5에서 미쉬파트(4941, 심판, 개역: 형벌), 잠 17:9에서 페샤(6588, 범죄, 허물)의 역어로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필로와 요세푸스의 저서에서 더욱 더 흔하게 나오는데, 대개는 인간의 법률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법을 거스리는 행위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3. 신약성경의 용법.||명사 아디케마는 신약성경에서 3회 나온다.||⒜ 행 18:14과 행 24:20에서는 이 단어가 범죄 행위를 나타내는데, 전자에서는 로마 법률의 형사적 위반을 의미하고, 후자에서는 유대 율법의 위반을 의미한다.||⒝ 계 18:5에서는 하마르티아($266, 죄)와 병행하여 하나님과 관련하여 사용되었다. 여기에서 복수형은 사악한 행위의 많음을 강조한다.|(참조: G. Schrenk, TDNT).
남의 일을 간섭하는 자
ajllotrioepivskopo"
다른 사람의 일에 참견하는 자||#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알로트리오에피스코포스는 알로트리오스($245)와 에피스코포스($1985)에서 유래했으며 '다른 사람의 일에 참견하는 자'를 의미한다.||#2. 신약성경의 용법.||명사 알로트리오에피스코포스는 벧전 4:15에 한번 나온다: "너희 중에 누구든지 살인이나 도적질이나 악행이나 남의 일을 간섭하는 자로 고난을 받지 말려니와".|이 단어가 신약성경 이외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므로, 우리는 그 의미를 문맥에서 추론해 보아야 한다. 이 문맥들은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가능성들을 허용해 준다.||(a) '다른 사람의 재산에 눈독을 들이는 자',|(b) '자기에게 위탁된 재물에 불충실한 청지기',|(c) '자기와 관계없는 일들에 참견하는 자',|(d) '중상자나 밀고자',|벧전 4:15에서 아마도 기자는 이방인들을 그리스도교의 기준에 순응시키기 위해서-공적이든 혹은 사적이든, 세속적이든 혹은 종교적이든지간에 경건하나 과도한 열성으로 이방인의 일에 관여하는 자를 말하는 것 같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H. W. Beyer).
무리한 일
a[logo"
말못하는, 이성없는.||#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형용사 알로고스는 부정 접두사 아(%107)와 로고스($3056)에서 유래했으며, '로고스($3056) 없는'을 의미하며, 따라서||(a) '말없는(못하는) 벙어리의'(Soph., Plat.),||(b) '이성(분별)이 없는, 불합리한, 근거없는, 의미없는, 계산이나 신중한 계획 없는'(Thuc. Xen.)을 의미한다.||#2. 70인역본의 용법.||형용사 알로고스는 70인역본에서 8회 나오며, 출 6:12에서 아랄 셰파타임을 번역하여 '둔한 입술'을, 민 6:12에서 나팔(5307: 떨어지다, 실패하다)의 역어로 사용되었다.|지혜서 11:15에서 '이성없는' 뱀을 묘사한다.||#3. 신약성경의 용법.||형용사 알로고스는 신약성경에서 3회 나온다.||(a) 알로고스는 행 25:27에서 '불합리한'이란 의미를 나타낸다: "그 죄목을 베풀지 아니하고 죄수를 보내는 것이 무리한 일인줄 아나이다 하였더라".||(b) 알로고스는 벧후 2:12에서 '이성이나 분별이 없는'이란 의미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 사람들은 본래 잡혀 죽기 위하여 난 이성 없는 짐승 같아서 그 알지 못한 것을 훼방하고 저희 멸망 가운데서 멸망을 당하며".|유 1:10에서도 마찬가지다: "이 사람들은 무엇이든지 그 알지 못하는 것을 훼방하는도다 또 저희는 이성 없는 짐승 같이 본능으로 아는 그것으로 멸망하느니라".|(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G. Kittel).
불일 듯하게 하다
ajnazwpurevw
불붙이다.||#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동사 아나조퓌레오(Pla., Xen. 이래)는||(a) '다시 불을 지피다, 다시 불을 붙이다'를 뜻하며,|(b) 비유적 의미로는 '마음, 힘, 열정' 등을 '불태우다, 불붙이다'를 의미한다.||#2. 신약성경의 용법.||동사 아나조퓌레오는 신약성경에서 딤후 1:6에 한번 나온다: "네 속에 있는 하나님의 은사를 [다시 불일 듯하게 하기 위하여] 너로 생각나게 하노니". 풀무불을 생각나게 한다.
일어나 앉다
ajnakaqivzw
일어나 앉다, 바르게 앉다.||#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동사 아나카디조(Ps.-Xenophon; Plut; Poxy. 등)는 아나($303)와 카디조($2523: 앉다)에서 유래했으며, '세우다, 일어나 앉다, 바르게 앉다'를 의미한다.||#2. 신약성경의 용법.||동사 아나카디조는 신약성경에서 2회 나온다. 눅 7:15; 행 9:40에서 죽은 자가 살아서 일어나 바로 앉은 것에 대하여 사용되었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다 …통일되게 하려하다
ajnakefalaivomai
요약하다, 합계하다, 요점을 되풀이하여 말하다||#1. 헬라어 문헌의 용법||동사 아나케팔라이오마이(Aristot. 이래)는 일반 헬라어에서는 드물게 사용되었으며, 문학 외에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 단어는||(a) `요약하다, 종합적인 합계를 하다, 중요한 부분들을 나누다',|(b) `결론을 내리다, 반복하다'를 의미한다.||#2. 신약성경의 용법||아나케팔라이오오마이는 신약성경에서 2회 나온다.|(a) 엡 1:10에서 의미하는 것을 아나케팔라이오마이의 여러 가지 가능한 의미들 중에서 선택하기란 어렵다. 이 단어의 번역과 주석의 다양함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형편에서 그 의미는 문맥으로 결정해야 한다. "다 그리스도 안에서 [통일되게 하려 하심이라]는 분명히 그를 만물 위에 교회의 머리로 주셨느니라"로 구성되어 있다(엡 1:22). 전체의 요약은 머리에 대한 전체의 복종에서 이루어진다. 머리에 대한 전체의 복종은 머리와 교회의 협동에서 이루어진다. 교회가 그 머리를 받아들임으로서 전체는 그 머리에 속한 것, 즉 그 결정적이고, 포괄적이고(머리 안에서) 자기 반복적인 총화를 받아들인다. 머리, 그리스도 안에서 전체는 총화(통일)로서 새롭게 이해된다. 확실한 것은 아나케팔라이오마이는 케팔레 보다 오히려 머리에 속한 것에서 유래된 것이다. (H. Schlier).|(b) 롬 13:9에서 '요약되어있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간음하지 말라, 살인하지 말라, 도적질 하지 말라, 탐내지 말라 한 것과 그 외에 다른 계명이 있을찌라도 네 이웃을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하신 그 말씀 가운데 [다 들었느니라]"|(참조: Walter Bauer).
난을 일으키다
ajnastatovw
선동하다, 어지럽히다.||#1. 고전 헬라어의 용법.||동사 아나스타토오는 아나스타토스(%556: 거처에서 쫓아내다, 추방하다, 소요를 일으키다)에서 유래했으며,||(a) '집에서 쫓아내다',|(b) '선동하다, 혼란시키다, 어지럽히다, 불안하게 하다'를 의미한다.||#2. 신약성경의 용법.||동사 아나스타토오는 신약성경에서 3회에 사용되었다.||(a) 행 17:6에서 아나스타토오는 국가에서 소동과 소요를 '선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발견치 못하매 야손과 및 형제를 끌고 읍장들 앞에 가서 소리질러 가로되 천하를 어지럽게 하던 이 사람들이 여기도 이르매".|행 21:38에서도 같은 의미를 지닌다: "그러면 네가 이전에 난을 일으켜 사천의 자객을 거느리고 광야로 가던 애굽인이 아니냐".||(b) 갈 5:12에서 종교적인 오류를 널리 퍼뜨림으로써 마음을 '어지럽히는 것'을 나타낸다: "너희를 어지럽게 하는 자들이 스스로 베어 버리기를 원하노라".|(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일으켜 세우다
ajnorqovw
(다시) 세우다, 회복시키다.||#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동사 아노르도오(Eur., Hdt. 이래)는 아나($303)와 오르도오(%563: 바로 세우다, 세우다)에서 유래했으며,||(a) '다시 세우다, 세우다',|(b) '바로 서게 하다, 회복시키다'를 의미한다.||#2. 70인역본의 용법.||동사 아노르도오는 70인역본에서 17회 나오며, 쿤(3559: 확고하다, 세우다, 예비하다 등)의 역어로 사용되었으며, '견고하게 하거나 세우다'는 의미를 나타내고(삼하 7:13; 7:26; 대상 17:12; 22:10; 잠 24:3; 렘 10:12), 또한 '일으키다'를 나타낸다(시 145:14; 146:9).||#3. 신약성경의 용법.||동사 아노르도오는 신약성경에서 3회 나오며 다음과 같이 사용되었다.||(a) 아노르도오는 퇴락한 구조물을 '세우는 것'에 대해 사용되었다: "이 후에 내가 돌아와서 다윗의 무너진 장막을 다시 지으며 또 그 퇴락한 것을 다시 지어 일으키리니"(행 15:16).||(b) 아노르도오는 바로 서게 하거나 회복시키는 것에 대해 사용되었다.|① 눅 13:13에서 아노르도오는 귀신들려 꼬부라진 여인이 몸을 '바로 펴서 서는 것'을 나타낸다.|② 히 12:12에서 연약한 지체들을 '힘을 회복시켜 세우는 것'을 나타낸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거역 한 일
ajntilogiva
반론, 반박, 반역.||#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안틸로기아(Hdt. 이래)는 안틸레고($483: 반박하다, 대항하다)에서 유래했으며,||(a) '반박, 논쟁, 논의'(BGU 1133, 15; Pstrassb. 75. 10 등).|(b) '적대, 반역'(Ppetr)을 의미한다.||#2. 70인역본의 용법.||명사 안틸로기아는 70인역본에 19회 나오며, 므리바(4809: 싸움의 장소; 민 20:13; 신 33:8; 시 81:8), 므리바(말다툼, 투쟁, 싸움; 민 27:14; 신 32:51), 리브(7379: 다툼, 논쟁, 신 1:12; 19:17; 시 55:10), 므리(4805: 반역, 반란; 잠 17:11), 미드얀(싸움, 논쟁, 투쟁; 잠 18:18)의 역어로 사용되었으며, 그런 의미를 나타낸다.||#3. 신약성경의 용법.||명사 안틸로기아는 신약성경에서 4회 나오며, 다음과 같이 사용되었다.||(a) 히 7:7에서 안틸로기아는 '논쟁이나 반론'이란 의미를 나타낸다: "폐일언하고 낮은 자가 높은 자에게 복 빎을 받느니라".|히 6:16에서도 같은 의미를 지닌다: "사람들은 자기보다 더 큰 자를 가리켜 맹세하나니 맹세는 저희 모든 다투는 일에 최후 확정이니라".||(b) 히 12:13에서 안틸로기아는 '적대(행위)'를, 유 1:11에서 고라의 '반역'을 나타낸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십일조를 드리다
ajpodekatovw
십일조 혹은 십분의 일을 바치다, 십일조를 징수하다.||#1. 일반 헬라어의 용법||동사 아포데카토오는 아포($575)와 데카토오($1183)에서 유래했으며, '십일조를 징수하다', 수동태로 '십일조를 바치다(지불하다)'를 의미한다.||#2. 70인역본의 용법||동사 아포데카토오는 70인역본에서 6회 나오며, 히브리어 아살의 역어로 사용되었으며, '십일조를 취하다'(왕상 8:15, 왕상 8:16, 왕상 8:17), '십일조를 드리다'(창 28:22; 신 14:22; 신 26:12)를 의미한다.||#3. 신약성경의 용법||동사 아포데카토오는 신약성경에서 4회 나오며, 다음과 같이 사용되었다.||(a) 마 23:23에서 아포데카토오는 '십일조를 바치다'를 의미한다: "화 있을진저 외식하는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이여 너희가 박하와 회향과 근채의 [십일조를 드리되] 율법의 더 중한 바 의와 인과 신은 버렸도다 그러나 이것도 행하고 저것도 버리지 말아야 할지니라"(병행구 눅 11:42; 눅 18:12).|여기서 "이것…저것은" 특히 주목할 말씀이다. 이것은 의와 인과 신을 가리키며, 이것을 행하는 것이 바로 그들의 의무였다. "저것"은 위에서 언급한 십일조를 가리킨다. 그리스도는 작은 일에 신경을 쓰는 것을 책망하지 않으신다. 예수님은 비록 성경에는 뚜렷이 명시되지 않았지만, 양심적으로 지켜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것이다. 혹은 합법적인 권위에 의해서 만들어진 규례에 순응하는 것을 가르치고자 하셨다(참조: 마 23:2; 마 23:3).|주님의 지적은 중한 의무는 제쳐 놓거나, 그것에 대해서는 전혀 힘을 쓰지 않고, 그 대신 하찮은 일에 열심을 쏟는 그것에 대한 것이었다. 그것은 바로 야채의 십일조는 드리면서 의는 소홀히하는 그들의 변덕스러운 양심이었다(A.L.Williams).||(b) 히 7:5에서 아포데카토오는 '십일조를 징수하다(취하다)'를 의미한다: "레위의 아들들 가운데 제사장의 직분을 받는 자들이 율법을 좇아 아브라함의 허리에서 난 자라도 자기 형제인 백성에게서 [십분의 일을 취하라]는 명령을 가졌으나".|(참조: Walter Bauer; Walter Bauer).
답답한 일을 당하다
ajporevw
당황하다, 어쩔줄 몰라하다.||#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동사 아포레오(Hdt., Thuc., Xen.)는 부정 접두사 %107와 포로스(%334: 길, 자원)에서 유래했으며,||(a) '자원이 없어지다, 궁핍하다, 부족하다',||(b) '돌아갈 길을 알지 못하다, 당황하다, 의심하다', 중간태에서 '어쩔줄 몰라하다, 의심하다, 어떻게 결정해야 할지 무엇을 해야할지 모르다, 어리둥절하다, 당황하다'를 의미한다.||#2. 70인역본의 용법.||동사 아포레오는 70인역본에서 14회 나오며, 레 25:47에서 무크(4134)의 역어로 '가난하게 되다'를, 잠 31:11에서 하세로(2637)의 역어로 '부족하다'를, 호 13:8에서 샷쿨(7909)의 역어로 '새끼를 잃은'을, 사 24:19에서 파라르(6565: 분리하다)의 역어로 '갈라지다'를, 사 51:20에서 알라프(5968: 덮다, 가리다)의 역어로 '당황하다'를, 렘 8:18에서 다우와이(1742: 허약한, 쇠약한)의 역어로 '곤혹하다'를 의미한다.||#3. 신약성경의 용법.||동사 아포레오는 신약성경에서 6회 나오며, 다음과 같이 사용되었다.||(a) 막 6:20, "헤롯이 요한을 의롭고 거룩한 사람으로 알고 두려워하여 보호하며 또 그의 말을 들을 때에크게 번민을 느끼면서도 달게 들음이러라". 여기서 아포레오는 '당황하다'를 의미한다. 따라서 폴라 에포레이는 '그는 많은 일로 어쩔줄 몰라하고 있었다', 또는 '매우 당황하였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b) 고후 4:8, "우리가 사방으로 우겨쌈을 당하여도 싸이지 아니하며 답답한 일을 당하여도 낙심하지 아니하며". 여기서 아포레오는 '당황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c) 눅 24:4에서도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이를 인하여 근심할 때에 문득 찬란한 옷을 입은 두 사람이 곁에 섰는지라".||(d) 요 13:22에서 '어리둥절하다'는 의미에서 '당황하다'라는 의미까지 함축한다: "제자들이 서로 보며 뉘게 대하여 말씀하시는지 의심하더라".||(e) 갈 4:20, "내가 이제라도 너희와 함께 있어 내 음성을 변하려 함은 너희를 대하여 의심이 있음이라". "너희에 대하여 의심이 있음이라"(아포루마이 엔 휘민)는 '나는 너희에 대하여 곤혹스럽다, 나는 너희를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 알지 못한다. 어떤식으로 너희에게 말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의미를 표현한다.||(f) 행 25:20, "내가 이 일을 어떻게 사실할는지 의심이 있어서 바울에게 묻되 예루살렘에 올라가서 이 일에 심문을 받으려느냐 한즉". "내가 이 일을 어떻게 사실할는지 의심이 있어서"는 '내가 그에 관한(혹은 이일들의) 조사에 대해 어떻게 결정해야할지 곤혹스러워서'라는 표현이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배도하는 일
ajpostasiva
변절, 배교.||#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아포스타시아(Diod.)는 아피스테미($868)에서 유래했으며, '반역, 변절, 포기, 배교 상태'를 의미한다.||#2. 신약성경의 용법.||명사 아포스타시아는 신약성경에서 2회 나오며, 다음과 같이 사용되었다.||(a) 행 21:21, 아포스타시아는 '변절'을 나타낸다: "네가 이방에 있는 모든 유대인을 가르치되 모세를 배반하고 아들 들에게 할례를 하지 말고 또 규모를 지키지 말라 한다 함을 저희가 들었도다". 여기서 유대인들은 바울이 구약 율법을 무시하도록 말하며,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에게 모세에 대한 변절을 가르친다고 비난했다.||(b) 살후 2:3, "누가 아무렇게 하여도 너희가 미혹하지 말라 먼저 배도하는 일이 있고 저 불법의 사람 곧 멸망의 아들이 나타나기 전에는 이르지 아니하리니". 아포스타시아의 독립적 용법은 메시야의 출현 직전에 배교의 시기가 있으리라는 예언과 함께 유대 묵시의 일반적 용법이다(이디오피아어 에녹서 5:4; 93:9). 바울은 그리스도의 재림 직전에 있을 적그리스도 시대에 이런 사건이 일어난다고 본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W. Bauder).
움직일 수 없는
ajsavleuto"
움직이지 않는, 흔들리지 않는.||#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형용사 아살류토스(Eur., Pla. 이래)는 부정 접두사 %107와 살류오($4531: 심하게 움직이다, 흔들다, 내던지다)에서 유래했으며,||(a) '움직이지 않는, 흔들리지 않는',|(b) '확고한, 안정된'을 의미한다.|이 단어는 바다의 '고요함'을, 비유적으로 마음의 '평온함'에 대해 사용되었다.||#2. 70인역본의 용법.||형용사 아살류토스는 70인역본에서 3회 나오며, 토타포트(2903: 머리띠, 표, 기호 등)의 역어로 사용되었으며, 구원을 상기시키는 손과 이마에 표시했던 표를 나타낸다(출 13:16; 신 6:8; 신 11:18).||#3. 신약성경의 용법.||형용사 아살류토스는 신약성경에서 2회 나오며, 사도행전과 히 12:28에만 사용되었다.||(a) 행 27:41, "두 물이 합하여 흐르는 곳을 당하여 배를 걸매 이물은 부딪혀 움직일 수 없이 붙고 고물은 큰 물결에 깨어져가니".||(b) 히 12:28, "그러므로 우리가 진동치 못할 나라를 받았은즉 은혜를 받자 이로 말미암아 경건함과 두려움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섬길찌니".|여기서 하나님의 나라는 흔들리지 않고, 따라서 영존하는 것으로 기술되며, 과거에 나타난 것이 아무리 견고하다 할지라도(히 12:26; 학 2:6 인용) 물질적인 피조물의 운명과 대조를 이룬다(N. Hillyer).|(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부끄러운 일
ajschmosuvnh
부끄러운 행위, 부끄러움||#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명사 아스케모쉬네(Plato. 이래)는 아스케몬($809)에서 유래했으며,||(a) '꼴 사나운 행동, 보기 흉한 행동, 수치스런 행동',|(b) '부끄러움, 수치'를 의미한다.||#2. 70인역본의 용법.||명사 아스케모쉬네는 70인역본에서 약 40회 나온다.||#3. 신약성경의 용법.||명사 아스케모쉬네는 신약성경에서 2회 나오며, 고전 헬라어 용법과 같이 사용되었다.||(a) 롬 1:27에서 '부끄러운 행위'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남자들도 순리대로 여인 쓰기를 버리고 서로 향하여 음욕이 불 일듯하매 남자가 남자로 더불어 부끄러운 일을 행하여 저희의 그릇됨에 상당한 보응을 그 자신에 받았느니라".||(b) 계 16:15에서 '부끄러움'을 의미한다: "보라 내가 도적 같이 오리니 누구든지 깨어 자기 옷을 지켜 벌거벗고 다니지 아니하며 자기의 부끄러움을 보이지 아니하는 자가 복이 있도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